“원전 승인 기간 90% 줄여줘”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전력 조달을 위해 원전을 활용하고, 다시 AI를 이용해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는 소형모듈원전(SMR) 승인 절차 단축에 나섰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S는 버지니아에 있는 데이터 센터 가동을 위해 지난 6월 미국 최대 원전 소유주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 구매 계약을 맺었다. MS가 원자력 에너지를 구매한 이유는 AI와 슈퍼 컴퓨팅 분야에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십만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의 전력이 있더라도 데이터 센터는 하나밖에 가동하지 못한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AI의 등장으로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전력 수요는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수요의 5∼6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전은 다른 재생에너지와는 달리 24시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안전성 우려로 각국이 탈원전 정책에 나서며 최근 전력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원전 안전성 우려에 SMR이 기존 원전을 대신할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SMR은 방사능 누출이나 폭발 사고 위험도 낮다. 빌 게이츠 MS 창업자도 2008년부터 SMR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보고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다. 하지만 SMR은 당국으로부터 인허가를 받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는 게 단점이다. 실제 현재 미국에서 승인받은 SMR 개발사는 단 한 곳뿐이다. 승인 과정에 5억 달러(약 6576억 원)가 들었고, 신청서는 1만2000페이지, 자료는 총 200만 페이지에 달했다.
이에 MS는 SMR 승인작업 단축을 위해 원전 사용을 지원하는 영국 비영리 민간단체 테라 프락시스와 협력해 AI를 활용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지난 6개월간 훈련시켰다. 에릭 잉거솔 테라 프락시스 공동 CEO는 “AI는 새로운 원전을 승인받는 데 드는 시간을 90%까지 줄여주기에 허가를 빨리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영 기자 sun2@munhwa.com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전력 조달을 위해 원전을 활용하고, 다시 AI를 이용해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는 소형모듈원전(SMR) 승인 절차 단축에 나섰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S는 버지니아에 있는 데이터 센터 가동을 위해 지난 6월 미국 최대 원전 소유주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 구매 계약을 맺었다. MS가 원자력 에너지를 구매한 이유는 AI와 슈퍼 컴퓨팅 분야에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십만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의 전력이 있더라도 데이터 센터는 하나밖에 가동하지 못한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AI의 등장으로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전력 수요는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수요의 5∼6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전은 다른 재생에너지와는 달리 24시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안전성 우려로 각국이 탈원전 정책에 나서며 최근 전력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원전 안전성 우려에 SMR이 기존 원전을 대신할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SMR은 방사능 누출이나 폭발 사고 위험도 낮다. 빌 게이츠 MS 창업자도 2008년부터 SMR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보고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다. 하지만 SMR은 당국으로부터 인허가를 받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는 게 단점이다. 실제 현재 미국에서 승인받은 SMR 개발사는 단 한 곳뿐이다. 승인 과정에 5억 달러(약 6576억 원)가 들었고, 신청서는 1만2000페이지, 자료는 총 200만 페이지에 달했다.
이에 MS는 SMR 승인작업 단축을 위해 원전 사용을 지원하는 영국 비영리 민간단체 테라 프락시스와 협력해 AI를 활용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지난 6개월간 훈련시켰다. 에릭 잉거솔 테라 프락시스 공동 CEO는 “AI는 새로운 원전을 승인받는 데 드는 시간을 90%까지 줄여주기에 허가를 빨리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영 기자 sun2@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