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0대 여성 10명 중 7명가량이 결혼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10여년간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5일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청년층에서 두드러지게 낮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20대 여성에서 가장 낮았다.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에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여성에서 27.5%로 집계됐다. 2008년 52.9%에서 14년 사이 25.4%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30대 여성도 같은 기간 51.5%에서 31.8%로 19.7%포인트 감소했다.

남성 청년의 경우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2008년 70% 안팎이었는데 같은 기간 30대는 48.7%로, 20대는 41.9%로 줄었다. 20대 여성 10명 중 2.7명만이, 20대 남성 10명 중 4.2명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셈이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에서 32.7%, 30대에서 33.7%를 차지했다.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도 20대에서 19.3%, 30대에서 14.2%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 독거가구(25.4%), 청년 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 가구(6.8%) 순으로 뒤를 이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의 부모 동거가구(미혼) 비율이 32.8%로 광역시(12.1%), 광역도(14.8%)보다 높았다.

혼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40∼50%가 연립 다세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도 32.4%로 높은 수준이었다.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은 수도권 거주 청년 독거가구에서 3.24%로 가장 높았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