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환자로 붐비는 한 병원의 모습. 연합뉴스
독감 환자로 붐비는 한 병원의 모습. 연합뉴스


외래환자 1000명당 61명꼴
코로나 이후 5년만에 최대


코로나19 유행은 정체 국면이지만 인플루엔자(독감)는 2019년 이후 5년 만에 최대 규모로 유행하고 있다. 소아·청소년 사이 독감 유행이 심해 의심 환자 수가 이번 절기 유행 기준(6.5명)의 20배 안팎까지 치솟았다.

15일 질병관리청은 12월 둘째 주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가 61.3명으로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2024년 절기 유행기준(6.5명)의 9.4배에 달한다. 직전 주 48.6명보다 26.1% 늘어난 수치로 11월 셋째 주(37.4명)와 비교하면 3주 사이에 63.9% 증가했다.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그동안 가장 높았던 것은 지난해 12월 다섯 번째 주(12월 25∼31일)의 60.7명이었다.

소아·청소년 사이 유행이 심해 의심 환자 수는 유행 기준의 20배 안팎까지 치솟았다. 3∼18세 의심환자 수는 133.4명으로 유행기준의 20.5배에 달했으며, 7∼12세에서는 120.1명으로 유행기준의 18.5배였다.

병원 218곳을 대상으로 하는 입원환자 표본감시에서 12월 둘째 주 독감 입원 환자 수는 1047명으로, 직전 주(797명)보다 31.4% 늘었다. 11월 둘째 주(11월 5∼11일·올해 45주) 311명이었던 것이 4주 사이 3.4배로 급증했다. 12월 둘째 주 입원 환자 중에서는 65세 이상이 전체의 40.3%나 됐다. 질병청은 지난달 타미플루 등 정부가 비축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 31만5000명 분을 시장에 푼 데 이어 비축분을 추가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관련기사

권도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