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오염과의 전쟁’ 10년 만에 공기질 다시 악화
올해 초미세먼지 농도 3.6%↑… “에너지안보 정책·혹한에 석탄발전 증가”
꾸준히 개선돼 왔다는 평가를 받던 중국의 공기 질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올해 다시 악화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국 발(發)미세먼지는 한반도의 공기 질을 악화시키는 악재로 꼽힌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핀란드 소재 연구기관인 ‘에너지·청정대기 연구센터’는 중국 전국의 올해 1∼11월 초미세먼지(PM 2.5) 평균 농도가 작년 동기보다 3.6%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 수치가 나빠진 것은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앞서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극심한 대기오염 문제 개선에 착수했다.2014년 ‘오염과의 전쟁’을 선언, 실시간 대기 질 모니터링과 대기오염 개선을 이루지 못한 공장·지역 정부 등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실시했다.그 결과 2021년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013년에 비해 40% 낮아졌다고 WP는 전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기 질 개선의 진전 속도가 느려지다가 결국 정체됐으며, 그간 개선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국의 대기오염 평균치는 세계보건기구(WHO) 지침 수준보다 약 5배 높다고 WP는 지적했다.
대기 질 개선이 뒷걸음질한 것은 2021년 대규모 정전 등 전력난 사태 이후 중국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석탄 화력발전이 늘어난 데다, 겨울 혹한으로 에너지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중국 북부 지방 기온은 이상한파로 인해 기록적인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민종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