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개 여론조사 분석결과
‘여당 심판론’ 최대 18%P 높아
민주 내홍에 반사이익 못 챙겨
신년을 맞아 실시된 제22대 총선 관련 여론조사에서 ‘정부 견제론(여당 심판론)’이 ‘정부 지원론(야당 심판론)’보다 최소 4%포인트, 최대 18%포인트 높았으나 더불어민주당이 반사이익을 정당 지지도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2일 나타났다. ‘한동훈 컨벤션 효과’를 통해 지난해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의 후폭풍에서 벗어난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60% 안팎의 부정 평가를,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와 계파 내홍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 셈이다.
문화일보가 이날 새해를 맞아 공개된 7개 언론사의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조사에서 정부 견제론이 정부 지원론을 앞서는 것으로 파악됐다.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일 발표한 조사에서는 정부 견제론이 49%로 정부 지원론(42%)보다 7%포인트 높았고, 경향신문·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선 정부 견제론(54%)과 정부 지원론(36%)의 격차가 18%포인트에 달했다. 조선일보·케이스탯리서치, 중앙일보·한국갤럽, 한국일보·한국리서치, MBC·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SBS·입소스 등의 조사에서도 4%포인트∼15%포인트의 격차를 나타냈다. 윤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상당수 유권자가 올해 총선을 정권 심판의 무대로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정부 견제론과 정부 지원론의 격차에도 불구하고 총선 정당 지지도에선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초접전 양상을 보였다. 경향신문·MBC·SBS·KBS 조사에선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1%포인트∼5%포인트 앞섰으나 중앙일보와 한국일보 조사에선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각각 5%포인트, 1%포인트 차로 눌렀다. 조선일보 조사에선 양당 지지도가 33%로 동률을 이뤘다. 우세한 정부 견제론 속에서도 민심이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등으로 계파 내홍에 휩싸인 민주당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야권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 청산론과 총선 이후 주가조작에 관한 김건희 여사 특검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5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케이스탯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8%가 운동권 86세대 정치인의 퇴진 여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나윤석 기자 nagija@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