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랑상품권’ 완주에서도 쓴다
전주·완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전주=박팔령 기자
올해부터 전주시 지역화폐인 ‘전주사랑상품권’을 완주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전주·완주사랑상품권 상호결제 서비스가 새해 첫날부터 개시됐기 때문이다.
올해 발행 규모는 지난해와 동일한 2400억 원으로, 월 발행 한도는 210억 원이다. 1인당 구매 한도는 월 50만 원·연간 200만 원으로 결제금액의 10% 캐시백 지급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전주사랑상품권 사용처가 확대되고 모바일 플랫폼(앱) 확대 개편을 통해 상품권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증진된다.
먼저 전주·완주 제8차 상생협력 사업인 ‘상품권 상호유통’ 프로그램 추진에 따라 전주·완주 간 상품권 사용 경계가 허물어져 올해부터는 전주사랑상품권 소지자는 전주·완주사랑상품권 가맹점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완주사랑상품권(카드) 소지자도 동일하게 전주·완주사랑상품권 가맹점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이달 중순부터는 플랫폼(앱) 고도화 작업도 진행된다.
전주시 택시공공앱인 ‘전주사랑콜’이 출시됨에 따라 전주사랑콜과 전주사랑상품권 플랫폼 간 결제를 연계할 예정이다.
플랫폼 내 모바일 간편결제인 QR결제 기능이 탑재되면 사용자는 지역사랑상품권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앱에서 QR결제 버튼을 누른 뒤 가맹점 내 비치된 전주사랑상품권-카카오페이 QR키트를 스캔한 후 금액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결제가 가능해진다.
전주시는 플랫폼 확장과 관련, 지난해 9월 모바일 플랫폼 개편 작업을 통해 전주시 공공플랫폼인 전주푸드와 상품권 플랫폼 간 결제 연계를 완료했으며, 플랫폼 내 아이콘 재배치 등 추가 작업을 통해 이용자 편의성 증진을 도모해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완주 상품권 상호유통은 지역 간 경계를 허물어 운영되는 전국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생활권과 상권이 인접한 전주·완주 간 지역사랑상품권 상호유통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주·완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전주=박팔령 기자
올해부터 전주시 지역화폐인 ‘전주사랑상품권’을 완주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전주·완주사랑상품권 상호결제 서비스가 새해 첫날부터 개시됐기 때문이다.
올해 발행 규모는 지난해와 동일한 2400억 원으로, 월 발행 한도는 210억 원이다. 1인당 구매 한도는 월 50만 원·연간 200만 원으로 결제금액의 10% 캐시백 지급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전주사랑상품권 사용처가 확대되고 모바일 플랫폼(앱) 확대 개편을 통해 상품권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증진된다.
먼저 전주·완주 제8차 상생협력 사업인 ‘상품권 상호유통’ 프로그램 추진에 따라 전주·완주 간 상품권 사용 경계가 허물어져 올해부터는 전주사랑상품권 소지자는 전주·완주사랑상품권 가맹점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완주사랑상품권(카드) 소지자도 동일하게 전주·완주사랑상품권 가맹점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이달 중순부터는 플랫폼(앱) 고도화 작업도 진행된다.
전주시 택시공공앱인 ‘전주사랑콜’이 출시됨에 따라 전주사랑콜과 전주사랑상품권 플랫폼 간 결제를 연계할 예정이다.
플랫폼 내 모바일 간편결제인 QR결제 기능이 탑재되면 사용자는 지역사랑상품권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앱에서 QR결제 버튼을 누른 뒤 가맹점 내 비치된 전주사랑상품권-카카오페이 QR키트를 스캔한 후 금액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결제가 가능해진다.
전주시는 플랫폼 확장과 관련, 지난해 9월 모바일 플랫폼 개편 작업을 통해 전주시 공공플랫폼인 전주푸드와 상품권 플랫폼 간 결제 연계를 완료했으며, 플랫폼 내 아이콘 재배치 등 추가 작업을 통해 이용자 편의성 증진을 도모해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완주 상품권 상호유통은 지역 간 경계를 허물어 운영되는 전국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생활권과 상권이 인접한 전주·완주 간 지역사랑상품권 상호유통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