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 이틀째에 접어든 가운데,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은 채 일단 냉각기에 접어들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윤·한(尹·韓) 갈등’의 근본 원인은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논란 등 각종 리스크의 해법에 관한 견해차와, 오는 4월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파워 게임 양상이 얽혀 있다고 보고 있어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은 모습이다.
23일 여권 다수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이번 사태의 해법으로 김경율(사진) 비대위원의 사퇴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서울 마포을 사천 논란이나, 김 여사를 ‘마리 앙투아네트’에 빗댄 발언 등으로 이번 갈등의 도화선이 된 만큼 김 비대위원이 당과 대통령실 간 긴장 관계에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비대위원은 전날(22일) 비대위 회의에서 대구·경북(TK) 의원들을 겨냥한 발언에 대해서는 사과하면서도, 김 여사 리스크에 대해서는 “계속 같은 생각”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당내에 공유하며 갈등을 확산한 이용 국민의힘 의원도 동시에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김 여사와 관련한 입장을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표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다만 김 비대위원 사퇴나, 윤 대통령의 입장 표명 모두 양측이 난색을 표할 해법이어서 어느 쪽으로든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이 당을 찍어누르는 모습이 지난 20대 총선에서 패배하게 된 원인이 됐던 사례를 반면교사 삼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새 비대위원장을 세웠는데, 대통령실이 나서는 것은 선거에 도움이 안 된다”며 “비대위원장이 물러나거나 힘을 잃게 되면 총선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이 질서 있게 수습하면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