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165개 사업서 축소·변경

인천=지건태·의정부=김현수 기자

접경지역에서의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9·19 남북군사합의가 사실상 무효화하면서 그동안 추진해온 접경지 ‘생태·평화 벨트 조성’ 같은 사업이 잇따라 중단되거나 축소·변경됐다. 이 과정에서 낙후된 접경지역 개발도 덩달아 늦춰지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인천시와 경기·강원도의 15개 시·군 대상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2011∼2030년)’에 담긴 사업 가운데 경색된 남북관계로 더는 추진이 어려운 사업 일부가 정리 또는 축소·변경됐다. 발전종합계획에는 애초 접경지역의 우수한 생태자원과 세계 유일 분단지역의 상징성을 활용한 생태·관광벨트 육성 등 165개 사업에 18조8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계획이 담겼다.

이 중 15개 사업을 추진해 온 인천 강화·옹진군은 기존 계획에서 최근 9개 사업을 제외했다. 강화 석모도 관광리조트 개발(1000억 원)과 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400억 원) 사업과 같이 대규모 민간 투자가 수반되는 사업이다.

경기도는 고양 ‘스마트플라워 시티’와 김포 ‘포구 문화의 거리’ 조성 사업 등 7개 사업(1676억 원)을 발전종합계획에서 제외했다. 강원도 역시 춘천·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등 6개 대상 시·군에서 추진해온 141개 사업을 수정·변경해 행안부에 제출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발전종합계획을 변경해 새로운 사업이 정해지면 접경지 주민 여론을 고려해 서둘러 진행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건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