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김포 이어 세번째…지하철 1·4호선, 광역버스 확대 협의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에 경기 남부지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군포시가 참여한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하은호 군포시장은 31일 서울시청사에서 ‘서울시-군포시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11월 17일 인천시, 12 월7일 김포시 이후 타 지자체 참여는 이번이 세 번째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원 대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등 모든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다. 공공자전거 ‘따릉이’ 포함 여부에 따라 월 6만2000원권과 월 6만5000원권으로 나뉜다.
서울시는 협약에 따라 군포 지역 지하철 1·4호선 7개 역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역 운영사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협의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은 수도권 교통기관 실무협의회를 통해 협의 후 발표할 예정이다. 군포의 평균 대중교통 통행량은 하루 약 14만9000건이고, 이중 서울∼군포 대중교통 통행량은 전체의 21.5%인 약 3만2000명이다.
협의가 이뤄지면 양 도시를 오가는 시민은 기후동행카드로 지하철과 버스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다만 현재 군포를 지나는 시내버스는 이미 기존 서비스 범위에 포함돼 있고 군포 지역 지하철과 광역버스는 코레일, 경기도 등 다른 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어서 이번 협약으로 인해 이용자가 당장 체감할 변화는 없다. 서울시는 추후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광역버스를 포함하는 것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의 경우 버스 준공영제가 되는 곳이 있고 안 되는 곳이 있는 등 기초 지자체마다 사정이 달라 버스 이용까지 연계된 기후동행카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개별 지자체와 논의하는 방식이 더 용이하고 효율적이라는 게 서울시 판단이다. 경기도와 광역 차원의 협의를 계속 이어가면서도 서울 인접 생활권인 경기도 내 기초 지자체별로 시범사업 때부터 참여를 원할 경우 언제든 문호를 열어 놓는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서울로의 출퇴근·통학 등 생활 연계가 높은 경기 남부지역 지자체가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한 것에 큰 의미를 뒀다. 특히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군포시와 인접한 다른 경기 남부 지자체와의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 시장은 "군포시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라는 또 한 번의 결실로 수도권 주민의 교통 편의가 크게 증진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후동행카드가 시민의 열렬한 관심을 받으며 출범한 만큼 수도권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보다 많은 수도권 시민이 ‘신개념 교통 혁신’을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군찬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