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 4785억…전년비 35%↑
저금리 신용·주택대출 증가 효과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가 대출 증가세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35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카카오뱅크는 7일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4785억 원을 기록, 전년 대비 35.5%(1253억 원) 증가하는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수신 잔액은 전년 말 대비 약 14조 원 불어난 47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자마진(NIM)도 2분기 연속 개선됐다. 2023년 2분기 2.26%에서 3분기 2.31%로 늘어난 데 이어, 4분기에도 2.36%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022년 42.6%에서 2023년 37.3%로 개선됐다.
또 지난해 12월 말 기준 중·저 신용대출 잔액은 4조3000억 원으로, 전년(3조2000억 원)에 비해 1조 원 이상 늘어났다. 카카오뱅크는 “적극적인 포용금융 정책으로 지난 2021년 5월 고객과 약속했던 ‘2023년 중저신용대출 비중 30%’ 목표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의 당기순이익이 늘어난 것은 저금리를 무기로 대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기준 여신 잔액은 38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조8000억 원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9조1000억 원으로, 전년 말(1조2000억 원)의 7.6배로 불어난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며 “지난해 주담대 실행액의 절반 정도는 다른 금융사의 대출을 갈아탄 ‘대환대출’”이라고 설명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저금리 신용·주택대출 증가 효과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가 대출 증가세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35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카카오뱅크는 7일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4785억 원을 기록, 전년 대비 35.5%(1253억 원) 증가하는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수신 잔액은 전년 말 대비 약 14조 원 불어난 47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자마진(NIM)도 2분기 연속 개선됐다. 2023년 2분기 2.26%에서 3분기 2.31%로 늘어난 데 이어, 4분기에도 2.36%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022년 42.6%에서 2023년 37.3%로 개선됐다.
또 지난해 12월 말 기준 중·저 신용대출 잔액은 4조3000억 원으로, 전년(3조2000억 원)에 비해 1조 원 이상 늘어났다. 카카오뱅크는 “적극적인 포용금융 정책으로 지난 2021년 5월 고객과 약속했던 ‘2023년 중저신용대출 비중 30%’ 목표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의 당기순이익이 늘어난 것은 저금리를 무기로 대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기준 여신 잔액은 38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조8000억 원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9조1000억 원으로, 전년 말(1조2000억 원)의 7.6배로 불어난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며 “지난해 주담대 실행액의 절반 정도는 다른 금융사의 대출을 갈아탄 ‘대환대출’”이라고 설명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