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화페인트공업㈜이 15일 리튬2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의 새로운 제조 방법을 발명해 특허를 받았다.
삼화페인트는 ‘다이알칸설포닐 아이소소바이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리튬2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리튬2차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2차전지’의 특허를 취득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삼화페인트에 따르면 리튬2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액 첨가제는 불순물인 염소 이온이 존재할 경우 배터리 성능을 저하한다. 삼화페인트가 특허를 낸 기술은 다이알칸설포닐 아이소소바이드 화합물의 염소 이온 농도를 줄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크게 높였다. 다이알칸설포닐 아이소소바이드는 리튬2차전지의 비수계 전해액에 함유시켜 전극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첨가제다.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고 충전 시 전해질 분해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아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물질이다.
특히 기존 다이알칸설포닐 아이소소바이드 화합물 제조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위험성이 있고 작업 시간도 길었으나, 새로운 제조 방법은 이런 단점을 해결했다고 삼화페인트는 밝혔다.
삼화페인트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실을 통해 다이알칸설포닐 아이소소바이드의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전해액 첨가제로 사용되는 비틸렌 카보네이트(VC)나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삼화페인트 관계자는 "리튬2차전지는 기술진보에 따라 점점 더 높은 에너지와 안전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며 "이번 발명이 배터리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