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7과 함께 우크라 재건 참여
EU집행위·세계銀·IMF 등 참여
네덜란드·노르웨이도 신규 가입
10년간 도시 인프라 복구 등 추진

1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전날 G7 주도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협의체인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에 신규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MDCP에는 G7 회원국,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우크라이나, 세계은행(WB),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참여하고 있고, 이번에 우리나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이 신규 가입하게 됐다.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 중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협의체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국제사회에서는 ‘글로벌 중추국’(GPS·Global Pivotal State)으로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기여를 확대하는 우리나라의 움직임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올해 3억 달러(약 4002억 원), 내년 이후 중장기적으로 20억 달러(약 2조6680억 원)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20억 달러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등을 통한 지원으로, G7 중 일본과 유사한 수준의 지원 규모에 해당한다.
정부는 MDCP 신규 가입으로 우크라이나 재건·복구 재정 기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공여국 간 ‘협의 과정’에 우리나라가 직접 참여하게 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 가입으로 재건·복구 과정의 진행 상황과 동향을 상세히 알게 돼 향후 재건 사업 확대 기회를 자연스레 꾀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G7 국가와 같은 부담을 지고 국제사회에 책임을 다하겠다는 것”이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와중부터 기여와 공조를 강화하면, 당연히 재건 사업 확대의 기회가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실제 업계에서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건축, 토목, 플랜트 등 각종 도시 인프라 복원 등 1200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가 발주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1200조 원 중 약 5∼6%(60조∼72조 원)의 프로젝트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협의체 신규 가입으로 이 비율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국가들은 본격적인 재건 사업 시장이 열리기 전에 사업 기회 확대를 위한 전방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은 이달 19일 도쿄(東京)에서 열리는 ‘일본·우크라이나 경제 부흥 추진회의’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158억 엔(약 1410억 원) 규모의 무상지원안을 발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손기은·서종민 기자
■우크라, 러에 반격 실패… 서방국 지원 줄어 ‘궁지’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대한 반격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데다 전쟁 장기화 및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등으로 미국 등 서방의 지원이 감소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6월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공격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조언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전선을 넓게 잡으면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오히려 러시아의 보복이 거세지면서 수도 키이우 등의 피해가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러시아가 북한의 무기 지원에 힘입어 우크라이나의 주요 영토를 조금씩 잠식해가고 있으나 우크라이나는 당장 사용할 포탄조차 부족한 상태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은 지난 7일 “전쟁의 규모와 러시아의 포탄 사용 정도가 유럽의 방위산업이 준비하지 못한 수준까지 미치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방어전에 치중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방공 능력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러시아의 공격으로 에너지와 인프라, 도시 시설이 붕괴되면서 우크라 주민들의 삶도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이현욱 기자 dlgus3002@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