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양질의 수돗물 공급을 위해 2040년까지 5553억 원을 투입해 노후 정수센터 현대화와 노후 상수도관 교체 등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우선 서울 시내 6개 정수센터 중 운영을 시작한 지 30년이 넘은 4곳을 순차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운영이 중단되는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강북·광암정수센터의 처리 용량을 늘릴 예정이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는 고도정수처리 용량을 하루 95만㎥에서 120만㎥로, 광암아리수정수센터는 하루 25만㎥에서 35만㎥로 늘린다.
또 올해 상수도관 62.5㎞ 구간 교체를 진행한다. 송파구 삼전역∼석촌고분역 일대 1700m, 강서구 외발산동∼신월동 일대 1495m, 강북구 번동 일대 800m 등 시내 곳곳에서 상수도관 교체 공사가 이뤄진다. 시는 30년 넘게 사용했거나 누수가 있던 수도관을 조사해 2040년까지 총 3074㎞ 수도관을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대형관(지름 400㎜ 이상) 38㎞ 구간을 우선 세척하고 소형 배수관(80∼350㎜)도 755㎞ 구간에 대한 세척을 진행한다. 시는 2030년까지 대형관 414㎞ 구간 세척을 완료하고 소형관도 지속적으로 세척해 나갈 계획이다.
또 상수도관로 말단 부위에 정체된 물의 수질을 실시간 감지해 자동배출하는 장치를 신규 설치하고 가정 내 오래된 급수관에 대한 교체도 지원한다. 시에 따르면 1994년 4월 이전 준공된 건물 중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옥내급수관으로 사용하고 있어 교체가 필요한 대상은 4만5000가구로 추정된다. 시는 올해 1만4800가구에 교체비를 우선 지원하며 5500가구에는 급수관 세척 및 필터를 지원한다.
아리수 수질검사 항목과 측정 지점도 늘린다. 수질검사는 지난해보다 2개가 늘어난 352개 항목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실시간 수질 측정 장소도 527곳에서 552곳으로 확대된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고품질 아리수를 가정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고 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