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단체 입장은

“대학 교육 환경·시설 부족”


전공의들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를 중심으로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하면서도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의 증원 규모를 두고는 “합리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들의 요구는 크게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2000명 증원 전면 백지화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와 증·감원 논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주 80시간에 달하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으로 요약된다.

정부는 의사 규모를 늘리면 근무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필수의료 패키지 또한 수차례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전공의들은 의사 규모가 늘어나도 기피 과목을 선택하는 의사 수가 늘어나기 힘들고, 현재와 같은 근무 체계에선 인력 충원만 이뤄질 것이란 우려가 크다. 지난 19일 사직서를 제출한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20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전공의들은 오래 일을 시킬 수 있는 사람을 늘려 병원을 더 싸게 운영하려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가 우선 있다”고 밝혔다. 필수의료 패키지에 대해서도 박 위원장은 “전문의 숫자를 얼마 늘리겠다거나 늘리게 되면 필요한 재정은 어떻게 할지, 수가도 어떤 식으로 개정할지 구체적인 내용이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했다. 전공의들은 특히 정부가 추진하는 증원 규모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또 “현재의 의대 시설·교육 환경이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을 상대로 업무개시명령과 함께 의사면허취소 등 강경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대전협은 성명서를 통해 “전공의를 겁박하는 부당한 명령을 전면 철회하고 정식으로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일각에선 전공의들이 수개월, 길게는 1년 가까이 진료 거부 행보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관련기사

정철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