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재판에서 위증을 자백한 김진성 씨가 이 대표의 위증교사 혐의 부인에 대해 “인간적인 배신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고 김병량 전 성남시장의 수행비서였던 김 씨는 2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부장 김동현) 심리로 열린 자신에 대한 피고인 신문에서 “이 대표의 부탁으로 위증했다”면서 이같이 진술했다.
김 씨는 지난달 22일 공판에서 이 대표가 “김 씨와 저는 애증 관계이자 위험한 관계로, 거짓말을 해달라고 요구할 관계가 아니다”라고 주장한 데 대해 “많이 서운한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마치 제가 주도한 것처럼 폄하해서 서운하고 놀랐다”며 “그 표현(애증·위험한 관계)은 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검찰은 최근까지도 이 대표와 김 씨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는 증거로 2022년 9월 이 대표의 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체포됐을 때 나눴던 문자메시지를 법정에서 제시했다. 당시 김 씨는 이 대표를 위로하기 위해 전화를 했으나 받지 않자 “힘내세요 형님”이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고, 이 대표는 다음날 “감사합니다”라고 답신했다. 앞서 이 대표가 대선에서 낙선했을 때도 “몸 추스르고 다음을 모색하자. 형님, 지사님, 시장님, 대통령님, 예비 대통령님께”라고 김 씨가 문자메시지를 보내자, 이 대표는 “감사합니다 ^^”라고 답했다.
김 씨는 “이전 공판에서 (이 대표가) 소위 꼬리 자르기를 했는데, 거대 야당 대표에게 가진 최소한의 존중을 허물어뜨리는 모멸감과 인간적인 배신감을 느꼈느냐”는 변호인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기도 했다. 김 씨는 위증 이유에 대해 “이분이 큰 꿈을 가진 상황이어서 측은함도 있었고 급한 상황이라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경기지사의 부탁이라는 중압감도 있었다고 했다.
검찰은 이날 법정에서 이 대표가 기억나지 않는다는 김 씨에게 “그런 얘기를 들었다고 하면 되지”라고 말하는 녹취 파일도 재생했다. 이에 대해 김 씨는 “요구대로 하는 게 맞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김 씨는 이에 따라 이듬해 1월 당시 이 대표의 변호인에게 증인신문 사항을 미리 전송받아 합을 맞췄다는 검찰의 수사 결과도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검찰은 당시 재판 증언 전 김씨가 이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에게 “최선을 다하고 올게요”라고 보낸 문자메시지도 공개했다.
이현웅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