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선 ‘D-40’ 3·1절 해석 제각각
尹 "기미독립선언 뿌리는 자유주의, 아픈 과거 딛고 협력해야"
새로운미래 "광주 5·18 정신 헌법 전문에" 호남 지지 호소…개혁신당 "3·1운동 주도한 학생·청년세대 지지" 호소…조국혁신당 "정치검찰 세력" 규탄…녹색정의당 "차별·억압에 맞서 乙과 함께"
제22대 총선을 40일 앞둔 가운데, 3·1절을 향한 정치 진영별 해석과 논평이 여러갈래로 찢어졌다. 지지층 표심을 얻기 위한 본격적 총선 국면에 돌입하면서 정당들이 선명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여당은 윤석열 정부의 메시지와 보조를 맞추고 있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일 논평을 통해 "기미독립선언서와 임시정부 헌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유로운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한 초석을 다진 날"이라며 "한일관계도 과거에 머물러 있을 것이 아니라 아픈 과거를 딛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도 1일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5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미독립선언의 뿌리에는 당시 세계사의 큰 흐름인 자유주의가 있었다"며 "정부는 3·1운동의 정신인 자유의 가치를 지키겠다"며 자유주의에 방점을 뒀다. 일본에 대해서는 "독립선언서는 일본을 향해 우리의 독립이 양국 모두 잘 사는 길이며, 이해와 공감을 토대로 새 세상을 열어가자고 요구했다"며 "양국이 아픈 과거를 딛고 새 세상을 향해 함께 나아가고 있으며,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평가했다.
반면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같은날 서면브리핑에서 "윤석열 정부는 굴욕 외교로 일본에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부족했는지, 독립 영웅의 흔적을 지우고 친일 인사들을 복권한다"며 "일제의 식민 지배가 우리 근대화와 산업화 성공의 토대가 됐다고 주장하는 박이택 낙성대경제연구소장이 국가보훈부 산하 독립기념관 이사에 임명된 현실이 참담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는 대일 굴욕외교와 역사 쿠데타를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3·1절 관련 녹색정의당은 "차별·억압·폭력에 맞서 모든 ‘을’들과 함께 평등한 민주주의 사회를 만들겠다"고, 이낙연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는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이 4·19 혁명을 거쳐 광주 5·18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으니, 5·18 정신을 헌법전문에 수록하자"고 각각 밝혔다. 개혁신당은 "학생계층이 주도한 3·1운동 정신을 받들어 오늘날 청년세대를 존중하고 지지한다"고 했다. 조국혁신당은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은 나라"라며 "홍범도 장군 흉상을 이전 하고,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을 추진하는 친일매국론자들이 좌우 갈등을 부추겨 자신들의 생존을 도모했듯 정치검찰세력과 뉴라이트세력들이 철 지난 좌우 이념 갈등을 획책 중"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1일 ‘일본 정부가 위안부·강제징용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조치를 전혀 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위원회 보고서를 함께 공개하면서 "줄고 있는 생존 피해자의 수를 고려해 일본 정부가 ‘더 이상의 지체 없이’ 고령의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들 요구에 대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며 "그들의 기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대응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 "윤석열 정부의 굴욕 외교, 사대 외교를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양대 노총은 지난 1995년 ‘위안부’ 문제를 ILO에 제소했었다.
강한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