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 내 상황실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오전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 내 상황실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두고 지난달 20일부터 시작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2주를 지나면서 기존의 강경노선과는 별개로 노선 이탈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전공의 내에서는 정부의 방침에 강경 대응한다는 목소리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할수록 커지는 비판 여론에 대한 내부 우려 목소리도 크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초기인 지난달 24일부터 SNS 내에선 의료 현장을 지키려는 이들이 만든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다생모) 모임을 중심으로 집단행동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주로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의 행동에 명분이 없다는 점과 휴학을 강요하는 의대 내 분위기를 비판하는 동시에 정부의 의대 정원 규모(2000명)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의료 현장 복귀를 강조하는 전공의들의 수는 소수고 상당수 전공의가 집단행동에 동참하고 있어 정부와의 강대강 대치 국면을 이어가고 있지만, 장기화 과정에서 내부 여론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가 정한 복귀시한(2월 29일)이 지난 상황에서 이탈한 전공의 9000여 명 중 1000명 정도 다시 병원으로 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상당수 전공의들이 기존 집단행동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들은 의협을 중심으로 한 의사 단체들과 행보를 맞추고 있다. 전공의들은 정부가 정한 복귀 시한에 응하지 않았고, 당근책으로 제시된 의료사고특례법·필수의료 패키지 등에 반응하지 않고 있다. 의료계 종사자들 사이에선 전공의들의 현장 이탈 명분이 약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이들은 요지부동이다.

정부와 전공의들 간의 ‘힘 싸움’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크다. 특히 정부가 업무개시(복귀)명령 불이행에 따른 고발 조치 등 사법 조치 과정으로 전환된 후에도 강경파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이 같은 기조를 이어갈 수 있어 사태 장기화 우려가 크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관련기사

정철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