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 40곳 증원신청 전수조사

정원 40명인 아주대·울산대
100~150명까지 증원 검토중
경북대 110명 → 최대 300명

교육부, 접수된 신청서 토대로
내달까지 배정 절차 마치기로


정부가 4일까지 의대를 운영 중인 전국 40개 대학에 증원 신청을 제출하라고 요구한 가운데, 상당수 대학에서 현재의 2∼3배가량의 증원 의사를 밝히고 있어 지난해 대학 수요 조사 시 확인된 증원분(최소 2151명∼최대 2847명) 이상이 접수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정원 50명 미만의 소규모 의대 대다수가 2배 이상의 증원 의사 제출을 막바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고, 경북대·경상국립대·충남대 등 지역 거점 국립대 중심으로도 증원 의사가 잇따르고 있다.

이날 문화일보 취재 등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서울지역 8개 의대와 비공개 원칙을 고수한 3개 대학을 제외한 29개 의대에서 검토하는 증원 규모가 최대 2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내부 논의 중이지만, 지난해 수요조사 수준으로 검토하거나 증원 규모를 더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대학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상당수 대학은 의대 교수와 학생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증원 신청 제출로 마음을 굳힌 상황이다. 이들 대학은 구체적인 제출 규모를 오늘 오후 의대 교수 및 학장이 참여하는 회의에서 최종 결정해 교육부에 제출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원 50명 미만의 소규모 의대 17곳 중 상당수는 2∼3배가량의 증원 의사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주대는 40명인 정원을 110∼150명까지, 울산대도 마찬가지로 40명을 100명까지, 제주대는 40명을 100명까지 늘리는 안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원이 49명인 가톨릭관동대와 동국대(경주), 동아대는 정원의 2배가량인 100명 수준으로 증원 의사를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국립대들도 증원에 적극 나서고 있어, 경상국립대는 76명인 의대 정원을 200명까지 늘리는 안을 제출할 예정이고, 경북대는 110명을 250∼300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총장이 언급한 바 있다. 이는 대학 입장에서도 “이번이 19년째 동결된 의대 정원을 늘릴 마지막 기회”라는 판단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우수 인재를 확보해 대학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등록금 수입 증가로 인한 재정적 효과도 누릴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장의 의견을 들어보니 정원을 추가해서 내겠다는 대학이 많았고,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에서도 지난해 낸 것 혹은 그 이상을 내겠다는 의사를 가진 대학이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전체 규모는 지난해 수요조사 때 들어온 것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공식화한 가운데, 지난해 말 실시한 수요조사에서는 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의 증원 신청이 대학으로부터 들어온 바 있다. 이 중 최소수치는 지난해 각 대학이 교원과 교육시설 등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만으로 즉시 증원이 가능하다고 밝힌 증원 수요다.

의대 교수들과의 막판 진통으로 결론 도출이 늦어지고 있는 대학별 상황을 고려해 교육부는 저녁 6시가 아닌 자정까지 서류를 제출받을 예정이다.

인지현·이소현 기자·전국종합

관련기사

인지현
이소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