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생활관 복도형 탈피 2028년까지 완료…시설 운영방안도 개선
복도형의 단체생활관 구조이던 서울 장애인 거주시설이 거실과 방, 주방으로 구성된 가정형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41개 장애인시설을 2028년까지 가정형으로 전면 리모델링하고 장애인의 목소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내용의 ‘장애인시설 환경 및 운영 개선 정책’을 5일 발표했다. 우선 시가 운영·지원 중인 41개 장애인 거주시설 중 복도 형태의 3인 이상 다인실로 이뤄진 31곳이 1∼2인이 쓸 수 있는 개별 방과 공유공간이 거실, 주방이 결합한 일반 가정집과 같은 구조로 개조된다. 시는 올해 4곳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31개를 모두 바꿀 방침이다.
지방에 있는 시 장애인 거주시설 16곳을 포함한 23곳의 내부 유휴공간은 가족이나 지인의 면회·숙박이 가능한 게스트하우스로 조성된다. 게스트하우스는 전염병 발생 시에는 분리공간으로 이용하거나 예비 이용인이 가족과 함께 시설 입소 전 적응하는 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시는 중·고령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돌봄공간도 2028년까지 5곳에 확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시설에 입소한 장애인의 40.2%가 40대 이상이며 지난 10년간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은 총 1104명 감소했으나 50대 이상은 38명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는 치매 등 노인성 질환에 대비하고 관리할 수 있게 입식침대, 낙상 방지 장치, 안전손잡이 등 안전시설과 치매환자 배회로 등 고령 친화 시설·환경을 조성하고 돌봄·의료 인력과 운영비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시설 이용 장애인이 지역사회와 동행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대규모 시설에 대한 관리운영비를 현실화하는 등 시설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아울러 시는 장애인의 신체·정서적 특성을 고려해 단체활동보다는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일대일 맞춤형 프로그램을 늘리고 전담 돌봄인력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 이용 장애인이 많아지면서 1인당 지원 비용이 줄어드는 관리운영비 단가를 일원화하고 사회복지시설 평가 등급이 낮은 시설은 역량 강화 전문 컨설팅을 통해 품질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애인 개인의 여건과 장애 유형을 고려해 적합한 주거를 지원하는 것을 물론 활동지원 서비스 추가 지원 등 체계적인 서비스도 제공된다. 시는 자립 후에는 건강 악화 여부, 지역사회 적응 등을 모니터링하고 장애인과 가족이 희망할 경우 재입소도 탄력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장애인 거주시설 환경과 운영방안 개선은 단순히 공간만 바꾸는 것이 아닌 장애인의 생활과 정서를 쾌적하고 안락하게 바꿔 일상 만족과 행복을 주는 것이 목적"이라며 "시설 입소를 희망하는 장애인과 지역사회 자립을 원하는 장애인 모두 불편함이 없도록 합리적이고 균형 있는 정책을 지속해서 펼치겠다"고 말했다.
김군찬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