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학연 전문가와 TF회의
“지속가능성 확보 위해 정책 속도”


정부가 지속가능한 원전 정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건설·운영부터 계속운전·핵연료·소형모듈원자로(SMR)·수출 부문까지 아우르는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원자력산업협회에서 최남호 2차관 주재로 산학연 전문가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 수립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윤석열 정부 들어 진행된 원전산업 생태계 정상화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수립해 나갈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의 주요 내용 구성 방안을 논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경남 창원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합리적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연내 수립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로드맵에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원전 정책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담는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원전 건설·운영 기본 방향, 계속운전 추진 정책, 기자재 및 핵연료 공급망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된 중장기 원전 정책 방향을 마련한다. 연구개발 강화, 원전사업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등 원전산업 질적 고도화 방안, 설비·연료·운영·정비 등 수출 다각화와 중소·중견기업 독자적 수출 능력 확대 등 원전 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도 수립된다. 최 차관은 “더욱 강력한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로드맵 수립 근거 등을 포함하는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로드맵 수립과 법률안 발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올해 내 완료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