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 후보자 등록이 22일 오후 6시 마감된다. 후보자 면면을 보면, 기대보다 걱정이 앞선다. 범법·종북·저질 후보가 너무 많다. 이대로 가면 제22대 국회는 최악의 망국적 의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21대 국회와 마찬가지로 여야 의석 불균형으로 인한 야당 폭주까지 우려된다. 이런데도 여권은 획기적 반전 기회를 만들기는커녕 최고 지도부 사이의 ‘자해적 충돌’을 이어간다.

최근 여론조사 추이를 보면, 수도권 122개 선거구는 물론 ‘낙동강 벨트’에서도 민심이 이탈한다는 경고음이 커진다. 국민의힘 자체 분석도 크게 다르지 않고, 경합 선거구 후보들 사이에서는 ‘용산 리스크’까지 대놓고 거론될 정도로 분위기가 흉흉하다. 지난달만 해도 제1당을 넘볼 정도였지만, 이달 들어 급전직하한 배경은 정권 심판론이 부상했기 때문이다. 생활물가가 뛰면서 서민 고통이 가중되는 와중에 이종섭 주호주 대사의 무리한 임명과 출국,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 실언이 겹쳤다. 김건희 여사 ‘몰카 공작’을 딛고 어렵게 만들어낸 ‘한동훈 대 이재명’ 구도가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로 되돌아간 것이다.

이 대사 귀국과 황 수석 사퇴에도 불구하고 불씨는 완전히 꺼지지 않았다. 떠밀려서 결단하는 바람에 효과도 미미하다. 이 대사를 위한 회의 급조 의혹까지 나오면서 심각한 정치적 추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일부 후보의 공천 취소와 비례대표 선정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잠복해 있다. 윤석열 대통령 측근인 주기환 전 광주시당위원장이 비례대표 후순위에 불만을 표시하며 전격 사퇴한 것도, 윤 대통령이 21일 돌연 민생특보로 임명한 것도 볼썽사납다. 그의 아들이 대통령실에 근무하고 있어 더욱 그렇다.

윤 대통령은 총선에서 패배하면 남은 임기 3년은 식물정권이 될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 여론의 배경은 국정 자체보다 ‘오만과 불통’ 분위기이다. 사법적 잣대보다 국민 정서를 제대로 읽고,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의 ‘원팀 쇼’라도 해 국민 불안을 줄일 필요가 있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