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공천에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출신 인사들의 몰염치한 처신들이 잇달아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은 23일 이영선 변호사의 세종시 갑선거구 공천을 취소했다. 그는 민주당엔 아파트 1채, 오피스텔 1채만 신고해 검증을 통과했다. 그러나 선거관리위원회에는 아파트 4채 등 11채를 신고했다. 보증금을 받아 재투자하니 채무가 37억 원이고, 재산은 1억2000만 원에 불과했다. 민변(民辯) 민생경제위원회 위원으로 전세 사기 피해자를 돕는다고 했으나, 자신이 ‘갭 투기꾼’이었던 셈이다.

앞서 서울 강북을에서 민주당 공천을 받은 조수진 변호사는 인권 변호사를 자처했으나, 성범죄 가해자를 전문적으로 변호한 사실이 확인돼 후보등록 마지막 날 출마를 포기했다. 민변 사무총장을 지냈다. 서울 서대문갑의 민주당 후보 김동아 변호사는 애초 공천 심사에서 탈락했지만, 이재명 대표 측근을 변호한 덕에 최종 경선에 올라 공천장을 쥐었다. 민변 사무차장 출신 이주희 변호사는 비례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에서 17번을 받았다. 민변은 위성정당을 “정당 민주주의 파괴”라고 규정했는데, 민변 간부 출신이 이런 식이면 자가당착도 넘어 사기극 아닌가.

민변은 ‘인권 옹호와 민주주의의 발전’을 기치로 1988년 창립됐다. 초기엔 시국 사건 변호 등을 맡으며 정체성을 지켰다. 하지만 민변 출신인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시절을 지나며 정치권력처럼 변했다. 다수의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문 정부 시절엔 사법부 요직 등을 차지해 ‘민변 정부’라는 말까지 나돌았다. ‘코인 투기’ 김남국 의원, 막말 논란의 최강욱 전 의원도 민변 출신이다. 부적절한 수임료 논란뿐만 아니라 ‘종북’ 논란도 있다. 민변의 민낯이 참담하다. 더 이상 인권과 민주를 입에 담지 말기 바란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