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적자 아들은 군 복무 안해…페이스북에 “자녀 결정 존중” 해명
문재인 정부 당시 국립외교원장을 지내며 한미동맹을 비판했던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6번 김준형 후보의 세 자녀가 모두 한국 국적 포기 후 미국 국적을 가진 것으로 3일 확인됐다. 한미 관계에 비판적이었으면서 자녀들은 미국 국적을 선택하고, 본인은 총선에 출마한 처신부터가 국민 눈높이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2015년 4월 대한민국 전자관보에 게재된 법무부 국적 이탈 고시를 보면, 김 후보의 장녀, 차녀, 장남 모두 2015년 3월 30일부로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했다. 당시 장녀는 24세, 차녀는 19세, 장남은 15세였다. 김 후보의 아들이 미국 국적을 선택하면서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됐었다.
김 후보는 전날 두 딸의 국적이 추가로 보도돼 논란이 되자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는 재미교포와 국제결혼을 했기에 국적 문제는 원정 출산 같은 위법이나 꼼수가 아니었다”며 “두 딸은 미국에서 태어났고, 지금도 미국에서 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녀들이 성인이 된 후 자기결정을 내린 것이며 그 결정을 존중한다”며 “내가 미국 생활 10년 이상에도 미국 시민권을 딴 적이 없는 것처럼 배우자나 자녀에게도 강요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녀 국적 관련 취재와 보도가 계속되면서 논란이 커지는 것에 대해 “미국에서 여태껏 살았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인 나의 두 딸의 한국 국적 이탈이 문제라는 것인가. 이중국적이 ‘아닌’ 것이 문제인가”라고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참에 전수조사를 제안한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장녀 알렉스 한의 국적은 무엇인가. (국민의미래) 인요한 위원장은 이중국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왜 한국에서 수십 년을 살고도 미국 국적을 이탈하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이런 김 후보에 여론은 썩 우호적이지 않다. 김 후보의 페이스북 해명 글에도 “본인이 그렇게 싫어하는 미국의 국적 갖고 있는 이유를 말해야지, 뜬금없는 알렉스 타령이냐?”라는 댓글이 달렸다. 야권 한 관계자도 “유권자에게 ‘내로남불’로 인식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특히 자녀의 병역 문제는 선거를 앞두고 예민한 사안이라 거론 될수록 본인이나 당에 좋을 게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힌편, 김 후보는 국립외교원장 재직 중이던 지난 2021년 펴낸 책 ‘영원한 동맹이라는 역설’에서 한미관계를 두고 “자국 국익을 우선시하는 미국 태도 앞에서 주권국이라면 응당 취해야 할 대응을 하지 못하는 한국의 관성은 일방적 한미 관계에서 초래된 ‘가스라이팅’ 상태”라고 비판한 바 있다.
노기섭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