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입부터 사회통합까지 전주기 이민정책 모델 구축
‘K-드림 외국인책임제’ 3대 전략, 27개 세부과제 추진
안동=박천학 기자
저출생 고령화로 지방소멸 위기가 심화하는 가운데 경북도가 이민자 유치에서 사회통합까지 전주기 지원에 나섰다.
경북도는 ‘다름에 대한 환대! K-드림 외국인책임제’를 주제로 ‘경북도 이민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기본계획은 3대 전략, 9개 전략과제, 27개 세부 추진 과제로 구성됐으며 도는 이를 추진해 지역 기반 이민정책을 선도하고 아시아 이주 허브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3대 전략은 △글로벌 인재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지역사회 안정적 정착시스템 구축 △상호 이해를 통한 경북형 개방사회 조성이다.
이민자 유입을 위해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R 비자 제도 마련을 추진한다. 기존 A~H까지 비자 기호에 지역을 뜻하는 R을 추가하고 R 비자에 대해서는 중앙과 지방이 함께 요건과 지침을 만드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지역에 경북형 초청장학생(K-GKS) 등 우수 인재 트랙으로 들어오는 외국인에게 기존보다 빠르게 영주, 귀화할 수 있도록 우수 인재 패스트트랙 확대 적용을 건의할 방침이다. 해외 현지에서 직접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경북 인재 유치센터 설치, 한국어 및 지역 기업 취업 맞춤형 기술교육도 입국 전부터 할 계획이다.
유학생들의 지역 정착을 위한 한국어· 경북학 등 지역사회 및 산업현장 적응 교육과 현장 맞춤형 교육 시스템인 산업캠퍼스 실습인턴제, 지역주력 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인 취업인턴 마이크로디그리(세부 학위) 과정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외국인들의 취업을 위해 외국인 전용 K-드림 워크넷 시스템 구축하고 안정적 지역 정착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 기숙사를 조성하고 이민친화기업 기숙사 리모델링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는 이민정책의 모범적 시행으로 이민청 유치에 노력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선도적인 이민정책 추진으로 지역경제 활력을 이끌어 내고 이민자에 대한 안정적 정착에 초점을 맞춘 전주기적 지원을 통해 도를 글로벌 이주 허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