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시설에… 마을 앞다퉈 경쟁

지자체 화장시설 포화 증설 나서
포항 추모공원 신설에 7곳 신청
양주 소각시설 공모에 6곳 응모

파격 인센티브·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소멸 위기 주민 오히려 반겨


포항=박천학·양주=박성훈·철원=이성현 기자, 전국종합



고령화 등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로 고인의 명복을 빌 새도 없이 공장처럼 쉼 없이 가동되는 심각한 ‘화장(火葬) 절벽’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화장시설 신설을 비롯해 화장로 증설과 운영 횟수 확대에 나서고 있다.

냄새 없이 소각 시간을 대폭 줄이는 최신 설비 도입 추진에 혐오시설이라며 무조건 반대하는 주민들의 반응은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있으며 지자체의 파격적인 지원에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소멸 극복에도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치열한 유치 경쟁이 벌어지는 지역도 생겨나고 있다.

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경북 포항시는 우현(화장로 3기)과 구룡포(〃 1기) 등 2곳의 화장시설 가동 한계로 올 상반기 친환경(무연·무취·무색)적이고 첨단 소각시설을 갖춘 공원 형태의 화장시설 등 추모공원 부지(33만㎡)를 선정하기로 했다. 유치 지역에는 인센티브(210억 원), 주변 지역 파크 골프장 건립 및 운영 권한 등 충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한 결과 7개 마을이 신청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일부 반대 주민도 있지만 상당수는 지역 화장시설 이용 불편 해소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유치에 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 양주시가 최근 선정한 화장시설을 포함한 광역종합장사시설 부지 공모에는 6개 마을이 응모했다. 시는 최종 후보지로 택한 방성1리에 100억 원, 인근 마을엔 300억 원 등 총 400억 원의 주민지원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양주시 관계자는 “기금이 마을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너도나도 장사시설 유치를 희망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강원 철원군에서는 주민들이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화장시설 설치를 반기고 있다. 군이 서면 자등리 일대에 화장시설 등 종합장사시설을 2027년 말까지 조성하기로 하자 주민들이 외지인 방문객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뜻을 모은 것이다. 이 마을은 군부대 통폐합 등으로 소멸 위기감이 높은 지역이다.

화장자 수 증가로 화장로 증설과 운영 횟수 연장도 잇따르고 있다. 광주시는 영락공원 화장로를 현재 11기에서 6기를 추가 증설해 오는 2026년 완공할 계획이다. 경북 경주시는 지난달 경주하늘마루 장사시설 화장로를 7기에서 8기로 늘리고 화장로 운영도 하루 최고 24건에서 28건으로 확대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화장자 수는 2013년 20만4750명에서 2023년 32만5015명(잠정)으로 늘었으며 화장률은 같은 기간 각각 76.9%, 92.1%(잠정)로 급증했다. 화장시설도 2013년 55곳에서 2023년 62곳, 화장로는 같은 기간 314기에서 385기로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화장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화장시설을 증설하면 예산을 보조하며 기존 120분이 걸리는 일반 화장로보다 화장시간을 20분 단축하는 스마트 화장로로 교체할 경우 일정 부분 지원한다”고 말했다.
박천학
박성훈
이성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