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의 한 채소 상점에 2500~3500원에 판매되고 있는 대파들이 진열돼 있다.  김유진 기자
7일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의 한 채소 상점에 2500~3500원에 판매되고 있는 대파들이 진열돼 있다. 김유진 기자


납품단가 지원금 반영된 가격



4·10 국회의원 총선거 막판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이 띄우는 ‘대파’ 퍼포먼스가 선거법 위반 소지는 물론 선거 자체를 희화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이 고물가의 상징으로 최근 최대 8000원에 이른다고 주장하는 대파 가격은 문화일보 조사 결과 서울 시내의 경우 소매가격이 2000~3000원 선에서 안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오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선관위 역시 정말 대한민국의 중립적인 선관위가 맞는가 싶을 정도로 이해하기 어려운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며 “대파가 그렇고 숫자놀음이 그렇고 도저히 민주적인 대한민국 맞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10 총선 사전투표 첫날인 5일 각 시·군·구 선관위에 민원 안내사항을 전달하며, 선거인이 대파 등 정치적 표현물을 소지한 채 투표소에 출입하는 경우 투표소 밖 적당한 장소에 보관하도록 안내하게 했다. 그러자 이 대표는 6일 서울 중·성동을 지원유세에서 “왜 대파를 가지고 투표소에 가면 안 되는지, 대파 갖고 테러라도 한다는 것이냐”며 “칼틀막, 입틀막도 부족해 이제는 파틀막까지 한다”고 말했다. 용인병 유세에선 지지자가 가지고 온 ‘대파 헬멧’을 써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투표소 대파 휴대가 다른 선거인에게 심적 영향을 줄 수 있고 비밀 투표 원칙이 깨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투표장 내부에서 이뤄지는 어떠한 형태의 선전과 선동도 선거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대파가격도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으로 상당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일보 취재진이 7일 저녁 서울 지역 대형마트·재래시장을 각 4곳씩 찾아 확인한 대파 1단 가격은 최저 1500원(강서구 남부골목시장)에서 최대 4500원(서초구 초록마을)까지 다양했고, 대부분 2000~3000원 사이에서 형성돼 있었다. 이는 정부의 납품단가 지원금이 반영된 가격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방문했던 매장은 당시 대폭 할인 행사를 벌여 가격이 한층 낮아진 상황이었다.

한편 민주당과 비례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은 이날 오후 경기 과천 중앙선관위를 항의 방문한다. 최근 선관위가 투표소에 대파를 반입 금지한 조치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전투표 하루 전날 윤 대통령의 정책 홍보 영상을 부처 내부 전산망에 올린 것을 두고 ‘관권선거’라며 비판할 예정이다.

조재연·이은지 기자

관련기사

조재연
이은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