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품백 의혹’ 사과·해명 미흡
이종섭·황상무 논란 시간끌기
대파 물가·의료계 파업도 한몫
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11일 ‘정권 심판’에 이르기까지 용산 대통령실은 5가지 주요 국면에서 대응 시기를 놓치는 모습을 보였다. 김건희 여사,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 황상무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등의 각 논란 그리고 대파·사과 등 고물가, 의료계 파업이 꼽힌다.

윤석열 대통령은 김 여사의 소위 ‘디올 백 수수’ 의혹이 불거진 지 3개월 만이던 지난 2월 KBS와의 사전 녹화방송으로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이나 대통령 부인이 어느 누구한테도 박절하게 대하긴 참 어렵다”며 별도의 사과 언급은 하지 않았다. 시점과 내용뿐 아니라 사전녹화라는 일방향 방식도 국민 눈높이에서 동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총선 이후 시점으로 특별검사 수사를 수용하자는 여권 일각의 주장에도 윤 대통령은 관련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거부권 행사)를 했다. 김 여사를 공식 보좌하는 제2부속실 설치도 대통령실이 검토하겠다고 했으나 이날까지 후속 조치가 없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이 전 대사의 면직안을 재가한 것도 임명 25일 만으로 총선을 열흘 남겨둔 때였다. 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건 조사에 대한 외압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상태였는데, 굳이 총선을 앞둔 시점 이 전 대사의 호주 출국을 두고도 “이해할 수가 없다”는 반응이 여권에서 나왔다. 이른바 ‘회칼 테러’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황 전 수석의 사의 또한 6일 만에 수용됐다. 그사이 황 전 수석 본인과 대통령실 참모진의 수차례 건의에도 윤 대통령이 결정하지 않자 수도권에 출마한 국민의힘 후보 중심으로 공개 비판 목소리가 쏟아졌다.
총선을 보름 앞두고 불거졌던 때아닌 ‘대파값 논란’ 대응도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 875원 대파를 두고 윤 대통령이 “다른 데는 이렇게 싸기 어려운 것 아니냐”고 되묻기는 했으나, 그 본질은 대통령실의 의전 실패로 시중 가격과 동떨어진 대파를 집은 데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종민 기자 rashomo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