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여당이 총선에 참패했지만 윤석열 정부는 일해야 한다. 이대로 가면 고립무원의 식물 정부가 될 뿐이다. 초거대·초강경 야권에 앞서 기사회생한 여당 내부에서부터 ‘용산’에 대한 불만이 폭발할 것이다. 그러면 윤 대통령의 불행을 넘어 국민의 불행이 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미 해답은 나와 있다. 지난 2년 동안 수없이 제시됐지만, 윤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았을 뿐이다. 국민 마음을 얻는 정치를 배우고 지독한 ‘불통’에서 벗어나면 된다. 윤 대통령의 진정성 있는 변화가 문제의 원인이고 해법이다.

변화를 보여줄 가장 효율적 방법은 인사 쇄신이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 수석비서관들이 사의를 표명했다. 후임이 변화를 상징할 리트머스시험지이다. 지난 100일 이상 악전고투해 개헌 저지선이나마 지킨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물러났다. 후속 지도부 구성도 중요한 메시지가 된다. 그런데 용산 안팎에서 나돌기 시작한 총리 하마평을 보면, 변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편한 사람보다는, 정부에 대한 지지를 넓힐 수 있는 사람을 파격적으로 발탁할 필요가 있다. 애국심과 자유민주주의 신념만 확고하다면, 다소 버겁더라도 중도·진보·청년·호남 민심까지 아우를 사람을 삼고초려 해서라도 모셔야 한다.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100가지 중 99가지가 달라도 정권교체 뜻 하나만 같다면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다. 그런 초심으로 돌아갈 때다.

신임 총리와 비서실장 인선의 제1 기준은 ‘대통령이 변했구나’하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다. 윤 대통령과 이런저런 사정으로 부딪쳤던 사람이면 금상첨화다. 비서실의 정무·민정 역량을 강화하고, 김건희 여사 관련 조치도 기대 이상으로 이행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과의 쌍방향 소통을 제대로 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이 다시 기자와 만나고, 가차없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기자회견은 대통령 뜻을 가장 빨리, 효율적으로 알릴 기회다. 대국민 담화, 국무회의 지시 형식의 발언은 권위주의 모습으로 비치기 쉽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