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차기 국무총리와 대통령실 인선을 두고 "하려는 여당 인사들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본다"며 "일종의 레임덕(임기 만료를 앞둔 현직 대통령에게 나타나는 권력 누수 현상) 시작"이라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16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대통령을 위해서 함께 운명을 같이할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대통령실 인선은 더 그렇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총선의 패배 원인을 많은 사람이 대통령을 꼽고 있는 상황에서 (윤 정부 임기가) 아직 3년이나 남았는데 그 모든 짐을 짊어질 수 있을 것인가"라고 말했다. 특히 고 최고위원은 "일단 권영세, 원희룡, 이런 분들 거론되시던데 그분들의 반응을 보면 ‘나는 연락받은 적 없다’ 그래서 대부분은 손사래를 치신다. ‘레임덕이 여기서부터 시작되는구나’ 저는 그게 보인다"고 강조했다.
고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 형식으로 4·10 총선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을 두고는 "여전히 국민 앞에 직접 나서는 건 자신 없어 하는구나, 변한 건 별로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형식도 기자회견처럼 그야말로 어떤 가감 없는 질의응답은 안 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역시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총선 후 야당이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로 채 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처리를 꼽았다. 그는 "군복무 하는 이들, 또 자식을 보내야 하는 부모님, 또 당사자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죽음 앞에 우리 정치권이 더는 부끄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그리고 당장에 할 수 있는 여건들이 지금 조성돼 있다. (22대 국회로) 갈 것도 없다"고 말했다.
진행자의 ‘채 상병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라는 질문에 고 최고위원은 "(22대 국회) 야권이 192석으로 8명의 여당 인사들이 동의하면 200석이다"며 "지금 여당에서도 공개적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면 공개적인 목소리를 내지는 않지만 찬성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대통령 입장에서는 거부권이 무력화되는 상황을 만들어선 절대 안 될 것이다. 제가 비서실장이라면 그럴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임정환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