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차기 국무총리와 대통령실 인선을 두고 "하려는 여당 인사들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본다"며 "일종의 레임덕(임기 만료를 앞둔 현직 대통령에게 나타나는 권력 누수 현상) 시작"이라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16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대통령을 위해서 함께 운명을 같이할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대통령실 인선은 더 그렇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총선의 패배 원인을 많은 사람이 대통령을 꼽고 있는 상황에서 (윤 정부 임기가) 아직 3년이나 남았는데 그 모든 짐을 짊어질 수 있을 것인가"라고 말했다. 특히 고 최고위원은 "일단 권영세, 원희룡, 이런 분들 거론되시던데 그분들의 반응을 보면 ‘나는 연락받은 적 없다’ 그래서 대부분은 손사래를 치신다. ‘레임덕이 여기서부터 시작되는구나’ 저는 그게 보인다"고 강조했다.

고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 형식으로 4·10 총선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을 두고는 "여전히 국민 앞에 직접 나서는 건 자신 없어 하는구나, 변한 건 별로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형식도 기자회견처럼 그야말로 어떤 가감 없는 질의응답은 안 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역시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총선 후 야당이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로 채 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처리를 꼽았다. 그는 "군복무 하는 이들, 또 자식을 보내야 하는 부모님, 또 당사자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죽음 앞에 우리 정치권이 더는 부끄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그리고 당장에 할 수 있는 여건들이 지금 조성돼 있다. (22대 국회로) 갈 것도 없다"고 말했다.

진행자의 ‘채 상병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라는 질문에 고 최고위원은 "(22대 국회) 야권이 192석으로 8명의 여당 인사들이 동의하면 200석이다"며 "지금 여당에서도 공개적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면 공개적인 목소리를 내지는 않지만 찬성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대통령 입장에서는 거부권이 무력화되는 상황을 만들어선 절대 안 될 것이다. 제가 비서실장이라면 그럴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