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아산병원의 호소
“해결되지 않은 문제 있지만
진료공백 지혜롭게 풀어야”
정부가 ‘의대 자율 증원안’으로 한 발 물러섰는데도 의사들은 ‘수용 거부’와 증원 백지화만을 외치는 가운데 서울아산병원 등 울산대 의대 부속·협력병원 병원장들이 전공의들에게 병원으로 돌아와 달라고 호소했다. 이들 병원장은 의대 증원안 50∼100% 범위 내 자율 결정이 의대 교육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병원도 전공의 교육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번 주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발족하는 정부는 의료개혁 의지 자체는 변함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박성욱 아산의료원장·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정융기 울산대병원장·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은 전날 “전공의 교육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전공의들에게 “진료와 교육의 현장에 복귀해 달라”고 촉구했다. 병원장들은 전공의들에게 “최근 증원에 관한 문제가 대학의 자율 결정 등으로 유연하게 전환됨에 따라 의대 교육과 병원 진료가 전환점을 마련할 계기가 됐다”며 “병원도 전공의 교육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 건강과 환자 불편 최소화, 최고 수준의 글로벌 경쟁력을 지향하는 도전정신은 지금 사태를 극복하는 원동력”이라며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있지만 우리 앞에 있는 환자의 불편과 진료 공백을 지혜롭게 풀어나가기 위해 진료와 교육의 현장에 복귀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각계의 합리적인 의견을 수렴하면서 의료개혁을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의료개혁은 붕괴되고 있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 어렵고 힘들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시급한 필수의료 확충이 지연되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원점 재논의와 1년 유예를 주장하기보다 과학적 근거와 합리적 논리에 기반한 통일된 대안을 제시해달라”고 촉구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해결되지 않은 문제 있지만
진료공백 지혜롭게 풀어야”
정부가 ‘의대 자율 증원안’으로 한 발 물러섰는데도 의사들은 ‘수용 거부’와 증원 백지화만을 외치는 가운데 서울아산병원 등 울산대 의대 부속·협력병원 병원장들이 전공의들에게 병원으로 돌아와 달라고 호소했다. 이들 병원장은 의대 증원안 50∼100% 범위 내 자율 결정이 의대 교육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병원도 전공의 교육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번 주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발족하는 정부는 의료개혁 의지 자체는 변함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박성욱 아산의료원장·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정융기 울산대병원장·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은 전날 “전공의 교육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전공의들에게 “진료와 교육의 현장에 복귀해 달라”고 촉구했다. 병원장들은 전공의들에게 “최근 증원에 관한 문제가 대학의 자율 결정 등으로 유연하게 전환됨에 따라 의대 교육과 병원 진료가 전환점을 마련할 계기가 됐다”며 “병원도 전공의 교육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 건강과 환자 불편 최소화, 최고 수준의 글로벌 경쟁력을 지향하는 도전정신은 지금 사태를 극복하는 원동력”이라며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있지만 우리 앞에 있는 환자의 불편과 진료 공백을 지혜롭게 풀어나가기 위해 진료와 교육의 현장에 복귀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각계의 합리적인 의견을 수렴하면서 의료개혁을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의료개혁은 붕괴되고 있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 어렵고 힘들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시급한 필수의료 확충이 지연되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원점 재논의와 1년 유예를 주장하기보다 과학적 근거와 합리적 논리에 기반한 통일된 대안을 제시해달라”고 촉구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