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 CNS ‘DAP GenAI’ 고도화
언어위주 거대언어모델 AI넘어
에브리싱 가능한 ‘LXM’ 이행중
생성형AI기술 탑재 지식저장소
PPT·워드·엑셀파일 학습 가능
강화된 성능으로 기업고객 공략
LG CNS가 최근 직장인들의 업무를 수월하게 해주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솔루션 ‘DAP GenAI 플랫폼’을 강화하며 국내 시장에서 독보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LG CNS는 언어 위주의 기능만 탑재했던 DAP GenAI 플랫폼에 △지식 저장소(GenAI Knowledge Lake) △이미지(GenAI Image) △대화(GenAI Talk) 등 솔루션 3개를 추가해 전면 고도화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기업들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문서 요약, 보고서 작성, 마케팅 이미지 생성, 상품 디자인, 대화형 챗봇 구축 등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특히 ‘지식 저장소’를 통해서는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한글문서(HWP), PDF 등 업무에 사용하는 파일들을 모두 AI 플랫폼에 학습시킬 수 있다. LG CNS 관계자는 “새롭게 등장하는 생성형 AI 기술들이 즉시 탑재돼 최신 AI를 사용 가능하다는 점도 특징”이라고 했다.
LG CNS는 생성형 AI 업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LXM’(대규모 X 모델·Large X Model)을 제시했다. 여기서 ‘X’는 모든 것(everything)을 의미한다. 즉 언어 위주로만 받아들이는 AI인 거대언어모델(LLM)을 넘어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아우르는 거대멀티모달모델(LMM) 등 LXM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해당 사업의 중심에는 LG CNS의 AI 센터가 있다. 올해 초 새로 꾸려진 이 센터는 기업 대상의 AI 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이다.
이 조직은 △기업 고객과 함께 생성형 AI 사업을 발굴하는 ‘생성형 AI 사업단’ △기존 콜센터에 AI 기술을 입힌 ‘미래형 고객센터’(FCC·Future Contact Center) △언어·비전·데이터·AI엔지니어링 등 4대 AI랩으로 구성된 ‘AI 연구소’가 통합됐다. LG CNS는 해당 센터를 필두로 제조, 금융, 공공 영역의 기업과 손잡고 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LG CNS는 글로벌 빅테크, 스타트업들과 기술 동맹도 만들어가고 있다. 최근 미국 유니콘(기업 가치 1조 원 이상 비상장 기업) 스케일AI와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스케일AI는 미국에서 생성형 AI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으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 CNS는 스케일AI와 협력을 통해 DAP GenAI 플랫폼의 성능을 더욱 강화해 기업 고객을 공격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10일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 데이’를 열고 생성형 AI 스타트업들과 함께 기술 협업을 논의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미국 AI 스타트업 앤스러픽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같은 해 4월에는 MS와 손잡은 뒤 ‘애저 오픈AI 서비스’ 적용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진요한 LG CNS 데이터애널리틱스&AI(D&A)사업부 AI센터장(상무)은 “초거대 AI 모델의 지능을 기업 혁신을 위한 지혜로 바꾸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차별화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바탕으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DX) 현장에서 사업 가치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예린 기자 yrl@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