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K가 지난달 5일~7일 간 153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결혼했을 때 부부로 다른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부부별성제’에 대해 NHK의 헌법에 관한 여론조사에서 들었더니 ‘찬성’이 62%, ‘반대’가 27%로 나타났다. 현행법상 결혼한 부부들은 동성을 쓰게 되어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하의 연령대는 모두 ‘찬성’이 70%대로 ‘반대’를 크게 웃돌았지만, 70세 이상은 ‘찬성’이 48%, ‘반대’가 40%대로 경향이 나뉘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찬성’이라고 답한 사람에게 이유를 들으니 ‘선택지가 많은 편이 좋다’가 56%, ‘성이 바뀌면, 일이나 생활로 지장이 있는 사람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가 18%, ‘여성이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많고, 불평등이니까’가 12%, ‘자신의 이름에 애착이 있는 사람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가 10%였다.
앞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요시다 히로시 도호쿠대 교수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부부동성제를 유지할 시 지금으로부터 500년 뒤인 2531년 일본에서 ‘사토’라는 성씨가 전체 성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0%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사토는 일본에서 가장 흔한 성씨로 약 1.5%를 차지한다. 일본은 민법에서 ‘부부는 혼인 시에 정하는 바에 따라 남편 또는 아내의 성씨를 따른다’고 규정하는데, 해당 제도를 지속할 경우 모든 성씨가 사토로 수렴될 것이라는 거다.
일본 내에서는 남편 성을 지켜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 탓에 남자가 성을 바꾸는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여겨졌다. 2022년 일본 내각부 조사에 따르면 혼인한 부부 50만4930명 중 남편의 성을 따른 아내는 94.7%(47만8199명)에 달한다. 이는 성을 바꿔야 하는 여성의 사회생활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여겨져왔다. 이에 일본 게이단렌 등 일본 주요 경제단체들도 "국제적으로 활약하는 여성에게 부부동성제가 경력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선택적 부부 별성제도를 도입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해왔다.
김선영 기자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