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년 전 이관 때 기록과 현재 상태 달라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불상에 해명 요구
경기 포천시의 흥룡사(興龍寺)가 100년 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됐던 철제 불상 2기의 손목이 사라진 경위에 대해 박물관 측에 해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불교조계종 흥룡사 주지 도암 스님은 1924년 흥룡사 터에서 출토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철불 2기의 손 부분이 모두 사라졌다며 이에 대한 자세한 해명을 박물관 측에 요구했다고 14일 밝혔다. 도암 스님에 따르면 1924년 절터에서 출토된 뒤 흥룡사가 법당에 보관하고 있던 통일신라 시대 석가모니불과 지장보살상은 이듬해 조선총독부가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이관해 갔다. 당시 총독부가 작성한 ‘흥룡사 발견 철불과 운송’이란 문건에는 ‘석가모니불은 오른손 손가락 4개가 파손되었다’, ‘지장보살상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파손됐다’고 기록돼 있지만, 지난달 촬영된 철불 사진에는 두 철불 모두 손목 아랫부분 전체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흥룡사 측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자세한 경위를 설명해줄 것을 요구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도암 스님은 "도선 국사가 조성한 흥룡사 불상 2기는 흥룡사의 역사를 증언하는 중요한 불교 문화재"라며 "부처님의 두 손이 모두 사라진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로, 국립중앙박물관의 관리 소홀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해명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흥룡사 측은 문화재 제자리 찾기 차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중인 흥룡사 철불 2기의 반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철불 2기의 손 부위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박준우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