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시복지재단 1499명 조사 결과…"생활·주거비 때문" 응답률 높아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20대 청년은 평균 7100여만 원의 빚을 졌고, 그 중 77%는 생활비·주거비를 마련하기 위해 처음 빚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복지재단 청년동행센터는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만 29세 이하 청년 중 ‘청년재무길잡이’ 과정을 이수한 149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청년동행센터는 서울회생법원과 협력해 개인회생 청년을 위한 맞춤형 재무 상담인 청년재무길잡이를 제공하고 있다. 조사 결과 원리금 기준 평균 채무액은 7159만 원이었다.

채무액을 구간별로 보면 ‘3000만 원 이상∼6000만 원 미만’이 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00만 원 이상∼1억 원 미만’(35%), ‘1억 원 이상∼1억5000만 원 미만’(11%), ‘1억5000만 원 이상’(6%) 순이었다.

처음 빚을 지게 된 이유로는 ‘생활비 마련’(5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주거비’(18%), ‘사기 피해’(12%), ‘학자금’(10%), ‘투자 실패’(8%) 등 순이었다. 특히 생활비와 주거비로 인해 빚이 생겼다는 응답 비율이 2022년보다 크게 늘었다. 생활비는 2022년 42%에서 지난해 59%로, 주거비는 2022년 6%에서 지난해 18%로 늘었다.

또 응답자의 43%는 ‘다른 부채를 변제하는 과정에서 상환 불능상태로 빚이 늘었다’고 답했다. ‘높은 이자로 채무가 늘면서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태가 됐다’는 응답 비율은 32%였다. 또 응답자의 96%가 지난 1년간 정신·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64%는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청할 곳이 없었다’고 답하기도 했다.

노기섭 기자
노기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