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복지재단 조사 결과
1년새 주거비 영향 12%P 늘어
서울에 사는 20대 청년들이 생활비와 주거비, 사기 피해 등을 이유로 처음 빚을 지게 되며, 개인회생 신청에까지 이른 청년들의 경우 평균 7000여만 원의 채무를 떠안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복지재단이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만 29세 이하 청년 중 맞춤형 재무상담 프로그램 ‘청년재무길잡이’를 이수한 14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17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첫 채무 발생 원인’에 대한 질문에 △생활비 마련(59%)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주거비(18%) △사기 피해(12%) △학자금(10%) △투자 실패(8%) 순으로 집계됐다.
전년 조사 때는 △생활비(42%) △과지출(9%) △사기 피해(9%) △투자 실패(7%) 순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특히 생활비와 주거비로 인한 채무 발생이 1년 사이에 크게 증가했다. 주거비의 경우 지난 조사에서는 답변 비율이 6%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18%로 1년 새 12%포인트 증가했다. 생활비도 지난 2022년 대비 17%포인트 늘었다.
‘상환 불능 상태로 채무가 증가한 이유’로는 다른 부채 변제(43%)와 높은 이자로 인한 채무 증가(32%)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응답자들은 개인회생 신청을 위한 ‘법률대리인 선임 비용’으로 1인당 약 243만 원을 지출한다고 밝혔다. 법률대리인 선임 비용은 본인 자금(61%), 할부금융(25%), 가족·친지로부터 빌림(12%) 등을 통해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채무액은 7159만 원(원리금 기준)으로 조사됐다. 채무 금액 비중은 3000만∼6000만 원 미만(39%)이 가장 많았고, 6000만∼1억 원 미만(35%), 1억∼1억5000만 원 미만(11%) 등 순이었다. 전년 조사에서는 3000만∼6000만 원 미만(43%), 6000만∼1억 원 미만(29%), 1500만∼3000만 원 미만(11%) 등으로 나타난 바 있다. 고액 채무자 비중이 더 커진 것이다. 재단은 다만 채무 금액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이번 조사와 달리 전년 조사에서는 구간별로만 파악, 전년 대비 채무 증가 폭은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은영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부채 문제를 겪고 있는 청년들은 주변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어렵고, 사회·경제적으로 고립되기도 한다”며 “청년 부채 해결과 더불어 금융위기 예방과 재기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복지서비스 제공에 더욱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승주 기자 sj@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