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런던 사우스뱅크센터에서 지난 17일(현지시간) 열린 부커상 낭독회 무대에 오른 81세 원로작가 황석영은 지팡이를 매만지며 이처럼 말했다. 청중은 한바탕 웃음과 열렬한 환호로 화답했다. 삼대에 걸쳐 철도 노동자 가족의 삶과 공장 굴뚝에서 고공농성을 이어가는 해고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황 작가의 ‘철도원 삼대’(번역판 ‘Mater 2-10’)는 세계적 권위를 가진 영국 최고 문학상인 부커상의 국제 부문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라있다.
황 작가는 무대에서 소설 일부 낭독한 뒤 1989년 3월 방북했을 당시 동향(영등포)의 전직 철도 기관사와 만난 것을 계기로 이 소설을 구상했다고 설명했다. 황 작가와 전직 기관사는 당시 과거 영등포에서 났던 화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같은 시기에 비슷한 곳에서 지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황 작가는 "두 가지 생각을 했다. 하나는 우리 한국 문학에서 근대 산업 노동자들의 삶과 투쟁을 다룬 적이 없으니 그 빠진 얘기를 내가 채워 넣고 싶었고 또 하나는 영등포에서 살았던 어릴 적 추억을 담은 소설을 쓰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작품은 이백만과 이일철·이철, 이지산으로 이어지는 철도 노동자 삼대의 역사가 한 축, 오늘날 고공농성을 하며 가족사를 회고하는 이백만의 증손 이진오의 이야기가 다른 한 축이다. 사회 변화의 풍랑에 휘말리는 노동자들의 거친 이야기에 주안댁과 막음, 신금이, 윤복례가 펼치는 민담 같은 가족사가 찹찹하게 쌓여 균형을 잡는다. 김 러셀 번역가는 "언어와 문화가 사라지는 것을 막고 각 인물이 동떨어진 개인이 아님을 보여주려 했다"며 "이건 영웅담이 아니라 공동체, 함께하는 사람들, 그들의 소통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수상작은 오는 21일 런던에서 열리는 시상식을 통해 발표된다.
장상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