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오후 세종 연서면 쌍류송암길에 있는 ‘포도나무정원’ 실내체험장에서 어린이들이 세종시에서 재배한 딸기로 만든 딸기 파르페를 들어 보이고 있다.   세종=박윤슬 기자
지난 25일 오후 세종 연서면 쌍류송암길에 있는 ‘포도나무정원’ 실내체험장에서 어린이들이 세종시에서 재배한 딸기로 만든 딸기 파르페를 들어 보이고 있다. 세종=박윤슬 기자


■ 농촌愛올래 - 2024년 농촌관광 사업
(2) 세종 ‘생기충전 행복도시樂’

‘포도나무정원’ 농촌 체험장
5~6월 감자피자 만들기 등
계절별로 프로그램 차별화
염소·공작새도 볼 수 있어

오두막 10곳에선 캠핑 즐겨
식기류·채소·물 등 무료제공
‘가성비 최고 팜크닉’ 입소문



세종=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여러분, 아이스크림-시리얼-휘핑크림 순서로 올려주세요. 그러고 나서 반으로 자른 딸기를 놓아주면 돼요. 세종 연서면 농장에서 오늘 아침 갓 따온 제철 딸기라 아주 싱싱하고 향긋합니다.”

지난 25일 오후 세종 연서면 쌍류송암길에 위치한 ‘포도나무정원’ 실내체험장. 김경숙(여·51) 포도나무정원 대표의 설명에 맞춰 30여 명의 가족이 딸기 파르페 만들기에 한창이다. 정원 이름에 걸맞게 포도나무 덩굴이 돔 형태의 체험장 천장을 수놓고 있다. 달콤한 딸기 파르페를 조금이라도 먼저 맛보기 위해 비닐장갑을 낀 고사리손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자, 다 만들었으면 이제 부모님께 한 입씩 드리고, 어린이들은 두 입씩 먹으면 돼요! 먹기 전에 사진 찍는 거 잊지 마시고요.” 김 대표의 재치 만점 진행에 여기저기서 웃음이 터진다. 파르페 만들기를 끝낸 체험객들은 정원 앞 감자밭으로 이동했다. 따스한 봄 햇살과 살랑이는 바람에 흙길을 걷는 발걸음이 마냥 가볍고 신난다.

“흰색 꽃 보이죠? 그게 감자 꽃인데 한 사람당 20개씩 따 주면 됩니다.” 도시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이렇게 감자 꽃을 따줘야 땅 밑에 자라고 있는 감자알이 굵고 단단해진다는 걸 배웠다. 6월 중하순 이후가 되면 다 자란 감자 캐기 체험도 가능하다. 캔 감자로는 감자전과 감자 피자를 만든다.

돌아오는 길에는 얼마 전 태어난 병아리와 새끼 공작새도 만났다. 포도나무정원에는 염소, 닭, 공작새, 강아지, 토끼 등 어린이와 함께 놀 동물 친구들이 많다. 따 온 감자 꽃을 닭에게 모이로 준 아이들이 이번에는 솜사탕 만들기에 나섰다. 포도 맛, 멜론 맛, 딸기 맛 설탕 중 하나를 골라 솜사탕을 만드는 표정이 제법 진지하다. 세종 집현동에서 온 김상원(9) 군은 “아빠가 딸기를 키우시니까 딸기 맛 솜사탕, 또 여기가 포도정원이니 포도 맛 솜사탕을 만들고 싶다”며 “모래 놀이터와 오두막이 특히 좋았다”고 말했다. 김 군의 어머니인 황지애(38) 씨는 “조리원 동기 가족들과 함께 왔다”며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많고 시설 관리가 굉장히 잘돼 있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이날 체험은 세종시 ‘농촌애(愛)올래-지역단위 농촌관광 사업’인 ‘생기충전 행복도시락(樂)’과 연계해 이뤄졌다. 세종시는 지난해부터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농어촌자원개발원이 농촌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하는 ‘농촌애올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생기충전 행복도시락의 대표 농촌체험장인 포도나무정원은 김 대표가 시아버지가 농사짓던 땅 2000평(약 6600㎡)을 개조해 3년여의 준비 끝에 2017년에 설립한 곳이다. 포도나무정원의 상징인 200m에 달하는 포도나무 터널을 비롯해 삼색 버드나무, 보리수, 블루베리, 데이지, 나팔꽃 등 정원을 채우고 있는 꽃과 식물 중 김 대표 부부의 손길을 거치지 않은 게 없다. 정원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포도나무 터널 아래에는 10개의 세모 지붕 오두막이 자리 잡고 있어 체험객들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오두막 바로 앞 타프가 쳐진 테이블에서 식사를 하고 해먹에 누워 고즈넉한 정원 풍경을 감상하거나 오두막에 들어가 낮잠도 잘 수 있다. 특히 오두막 간 간격이 넓고 뒷면은 막혀 있어 프라이버시 침해 없이 가족끼리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1박 2일을 보낼 체험객들을 위해 5동의 숙소도 마련돼 있다. 계절별로 체험 종류도 다양하다. 4∼5월 쑥 뜯기와 쑥개떡·전통 두부·진달래 화전 만들기, 5∼6월 파르페와 감자 피자 만들기, 7∼8월 포도 따기와 빙수 만들기·물놀이, 9∼10월 포도잼·포도 비누 만들기와 고구마 캐기·핼러윈 파티, 11∼12월 고구마 굽기·팥죽 쑤기 등을 즐길 수 있다. 세종 고운동에서 온 김미희(여·37) 씨는 “6세 딸, 남편과 함께 왔는데 자연·가족 친화적이어서 좋다”며 “아이의 어린이집에서 월요일마다 ‘주말 보낸 이야기’를 하는데 얘깃거리가 많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포도나무정원’에서 체험에 참가한 가족들이 사륜 바이크를 타고 텃밭을 돌고 있다.
‘포도나무정원’에서 체험에 참가한 가족들이 사륜 바이크를 타고 텃밭을 돌고 있다.


텃밭 근처에서 사륜 바이크 타기 체험까지 마친 체험객들은 배정받은 오두막에 모여 이른 저녁을 먹기 시작했다. 이날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항아리 바비큐 시간이 다가오자 정원 입구에 위치한 공유 주방이 들썩인다. 집에서 가져온 수육용 돼지고기를 김 대표에게 맡기면 김 대표 부부가 시즈닝한 고기를 2시간 동안 항아리에서 구워내 썰어 준다. 그 어디에서도 먹어본 적 없는 소위 ‘겉바속촉’(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황홀한 바비큐가 입안에서 살살 녹는다. 체험객들은 고기, 밥, 김치만 준비해 오면 된다. 쌈장 등 각종 장류, 마늘·파·양파 등 채소, 식기류, 물 등은 모두 무료로 제공되고 깔끔하게 정돈된 공유 주방엔 전자레인지와 밥솥도 구비돼 있다. 캠핑용품을 갖고 다닐 필요 없이 간편하게 팜크닉을 즐길 수 있는 덕분에 포도나무정원에는 세종뿐 아니라 천안, 대전, 청주 등 인근 지역과 전국에서 연간 4000∼5000명이 다녀가고 있다.

지역 상생도 눈길을 끈다. 일손을 돕고 있는 20여 명의 직원 대부분이 지역 주민이다. 파르페 재료인 딸기처럼 인근 농장에서 농작물을 수매하고 휴경지를 임대해 밭작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김 대표는 “가족과 단체 관광객들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가성비가 좋다며 많이들 찾고 있다”면서 “특히 농촌애올래와 연계해 입장권 가격도 할인되니 앞으로 도움이 더 많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