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969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노조 파업에 직면했다. 전체 직원의 22.8%인 1만9800명이 가입한 사내 최대 전국삼성전자노조가 임금 교섭 파행 하루만인 29일 파업을 선언한 것이다. 내달 6일 집단 연차 휴무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단체행동에 나서겠다고 한다. 회사 측은 지난 3월 직원 대표들로 구성된 노사협의회와 평균 5.1% 임금 인상에 합의했지만, 전삼노는 6.5% 인상을 요구하며 거부했다. 지난해 반도체사업(DS)에서만 15조 원의 적자를 낸 데 따라 제로(0)가 된 성과급을 올리려고 기준 변경도 요구한다. 세계 반도체 전쟁 속 사면초가인 삼성전자에 ‘노조 리스크’까지 불거졌다. 앞길이 험난하다.

물론 임금 인상 요구는 노조의 권리다. 전삼노는 절차를 거쳐 쟁의권도 확보했다. 그러나 귀족 노조의 임금 투쟁이다. 국민 시선은 싸늘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 적자(별도 기준)로 인해 올해 법인세를 한 푼도 내지 않기에 더욱 그렇다. 삼성전자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2000만 원이다. 이런 직원들의 노조가 5.1% 인상도 부족하다며 추가 인상과 성과급까지 요구한다. 전삼노는 임원은 성과급을 받는다고 반발하지만, 기준이 다르다. 임원은 3년간 경영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받는다.

파업 저의도 석연치 않다. 현재 한국노총인 소속 상급단체를 민주노총으로 바꾸려고 강경 투쟁을 벌인다는 지적이다. 직원들의 불만도 상당하다고 한다. 특히 젊은 근로자들이 중심이 된 삼성전자의 2대 노조인 초기업노조조차 민주노총 가입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하는 정도다. 전삼노와 민주노총이 장차 국가 기간산업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볼모로 ‘정치 투쟁’을 벌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삼노는 삼성전자 위기론마저 부정하고 있다. 억지다. 대만 TSMC 등 경쟁 업체들은 대부분 무(無)노조다. 명분 없는 파업을 당장 접기 바란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