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 ‘노인친화도시’ 구축 박차
대구시는 주기적 실태조사 통해
10월 ‘노인복지 기본조례’ 제정
창원=박영수·대구=박천학·무안=김대우·인천=지건태 기자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령친화도시’를 경쟁적으로 선언하며 노인이 살기 좋은 도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2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군민 10명 중 4명(41.85%)이 65세 이상인 경남 남해군은 최근 고령자 등을 위한 ‘창선 누리타운’을 건립했다. 총 64가구가 입주할 수 있는 4층 연립주택(4개 동)으로 지어졌으며 고령자 32가구와 영구임대 32가구가 입주 중이다. 타운은 사생활이 보장되면서 집단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특화주택으로 엘리베이터와 난간을 설치하고 경사도를 낮춰 노인들이 거동하기 쉽게 했다. 무엇보다 4개 동 중 1개 동에 보건지소가 입주해 공중보건의 2명이 입주민을 포함해 지역주민을 진료한다. 200m 거리에는 민간 치매전담 주야보호시설도 운영 중이다. 남해군 관계자는 “노인이 건강하고 활력 있는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도시를 조성 중”이라며 “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농어촌 가로등 관리, 홀로 어르신 공동거주시설, 시니어 일자리 지원,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도 올해 ‘無(무)사고 孝(효)경남’ 브랜드를 만들어 노인복지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브랜드는 노인의 4가지 고통인 가난, 병고, 외로움, 역할 상실을 획기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것으로 노인 일자리 발굴, 노인요양시설 확충, 노인 돌봄체계 구축, 경로당 이용 활성화 등 사는 곳에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에 이어 두 번째로 지난 4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대구시도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중장기, 연차별 노인복지종합계획 수립·시행, 노인의 정책 수립 참여, 주기적인 노인실태조사를 주요 내용으로 한 ‘대구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기본조례’를 10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전국에서 노인 인구 비율(26.1%)이 가장 높은 전남도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사업으로 도민 안전공제보험에 가입해 실버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나 농기계 상해사망 등에 최대 2000만 원을 지원한다. 또 노인보호구역(114곳) 설치와 어르신 운전면허 반납(2023년 기준 3512명) 등 어르신 교통안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도 지난해 7월 ‘시민이 함께 만드는 고령친화도시 인천’의 비전 아래 고령친화도시 3개년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대구시는 주기적 실태조사 통해
10월 ‘노인복지 기본조례’ 제정
창원=박영수·대구=박천학·무안=김대우·인천=지건태 기자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령친화도시’를 경쟁적으로 선언하며 노인이 살기 좋은 도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2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군민 10명 중 4명(41.85%)이 65세 이상인 경남 남해군은 최근 고령자 등을 위한 ‘창선 누리타운’을 건립했다. 총 64가구가 입주할 수 있는 4층 연립주택(4개 동)으로 지어졌으며 고령자 32가구와 영구임대 32가구가 입주 중이다. 타운은 사생활이 보장되면서 집단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특화주택으로 엘리베이터와 난간을 설치하고 경사도를 낮춰 노인들이 거동하기 쉽게 했다. 무엇보다 4개 동 중 1개 동에 보건지소가 입주해 공중보건의 2명이 입주민을 포함해 지역주민을 진료한다. 200m 거리에는 민간 치매전담 주야보호시설도 운영 중이다. 남해군 관계자는 “노인이 건강하고 활력 있는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도시를 조성 중”이라며 “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농어촌 가로등 관리, 홀로 어르신 공동거주시설, 시니어 일자리 지원,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도 올해 ‘無(무)사고 孝(효)경남’ 브랜드를 만들어 노인복지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브랜드는 노인의 4가지 고통인 가난, 병고, 외로움, 역할 상실을 획기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것으로 노인 일자리 발굴, 노인요양시설 확충, 노인 돌봄체계 구축, 경로당 이용 활성화 등 사는 곳에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에 이어 두 번째로 지난 4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대구시도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중장기, 연차별 노인복지종합계획 수립·시행, 노인의 정책 수립 참여, 주기적인 노인실태조사를 주요 내용으로 한 ‘대구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기본조례’를 10월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전국에서 노인 인구 비율(26.1%)이 가장 높은 전남도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사업으로 도민 안전공제보험에 가입해 실버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나 농기계 상해사망 등에 최대 2000만 원을 지원한다. 또 노인보호구역(114곳) 설치와 어르신 운전면허 반납(2023년 기준 3512명) 등 어르신 교통안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도 지난해 7월 ‘시민이 함께 만드는 고령친화도시 인천’의 비전 아래 고령친화도시 3개년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