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수료생 251명 중에 우리 아들만 없습니다. 대체 누가 책임질 것인가요? 국가의 부름에 입대하자마자 상관의 명령이라고 죽기로 복종하다 죽임당한 우리 햇병아리, 대한의 아들이 보고 싶습니다."
지난달 육군 1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군기훈련(얼차려)을 받다 쓰러져 숨진 박모 훈련병의 모친이 19일 군인권센터를 통해 자신의 편지를 공개했다. 이날은 숨진 훈련병의 수료식이 예정돼 있던 날이다.
어머니 A 씨는 편지를 통해 "12사단에 입대하던 날 생애 최초로 선 연병장에서 엄마 아빠를 향해 ‘충성’하고 경례를 외칠 때가 기억난다. 마지막 인사하러 연병장으로 내려간 엄마 아빠를 안아주면서 ‘군생활 할만할 것 같다’며 ‘걱정마시고 잘 내려가시라’던 아들의 얼굴이 선하다"고 회상했다.
이어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셋째도 안전하게 훈련시켜 수료식 날 보여드리겠다’던 대대장님의 말을 기억한다. 우리 아들의 안전은 0.00001도 지켜주지 못했는데 어떻게, 무엇으로 책임질 것인가"라고 물었다.
A 씨는 아들이 얼차려를 받은 상황과 쓰러진 뒤 군대의 조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군이 아들에게 씌운 프레임은 ‘떠들다가 얼차려 받았다’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동료와 나눈 말은 ‘조교를 하면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겠네’ 같은 말이었다고 한다. 자대배치를 염두에 두고 몇 마디 한 것일 뿐일 텐데 그렇게 죽을죄인가"라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책과 생필품을 넣어 완전군장을 만들고 총을 땅에 안 닿게 손등에 올려 팔굽혀펴기를 시키고, 총을 떨어뜨리면 다시 시키고, 잔악한 선착순 달리기를 시키고 언제 끝날지 모르는 구보를 뛰게 하다가 아들을 쓰러뜨린 중대장과 우리 아들 중 누가 규칙을 더 많이 어겼느냐"고 지적했다.
박 훈련병의 어머니는 이날 오후 6시 서울 용산역 광장에 차려지는 ‘시민 추모 분향소’에서 직접 시민을 맞이한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이곳에서 분향소를 운영한다.
전수한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