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출산·양육 정책포럼에서 권영세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곽성호 기자
추경호(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출산·양육 정책포럼에서 권영세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곽성호 기자


“민주당 측에서 받아들이면
남은 7개 상임위원장 수용
의원들의 재신임 받을 각오”

우원식 “주말 협상 마쳐달라”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9일 원 구성 협상 관련 더불어민주당에 임기가 2년인 국회 운영위원장과 법제사법위원장을 1년씩 맞교대하자고 공개 제안했다. 추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이번 제안을 수용한다면, 정무위원장 등 국민의힘 몫으로 남겨진 7개 상임위원장도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추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1년간 민주당이 맡고 1년 뒤인 2년 차에 국민의힘으로 돌려달라”고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이날 제안을 포함해 민주당과 원 구성 협상 관련 총 3차례 공개 제안을 했다. 이들 모두 추 원내대표 개인 판단에 따른 제안이었다. 지난 10일 민주당이 국회 운영위원장과 법사위원장 등 11개 상임위원장을 단독 선출할 때도 추 원내대표는 막판 민주당에 법사위원장만이라도 가져오겠다는 제안을 했다. 당시 추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내게 (원 구성 협상 관련) 전권을 달라”고만 말한 뒤, 법사위원장 제안 카드를 처음 민주당에 꺼냈다.

지난 14일에 추 원내대표는 원 구성 협상 관련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와 1 대 1 공개토론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후 물밑 협상 과정에서 추 원내대표가 법사위원장 대신 운영위원장을 여당 몫으로 달라고 비공개 수정 제안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를 거절했다.

민주당이 추 원내대표의 이번 제안 역시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은 이중 플레이를 하면서 지연책을 펼치고 있다”며 “1년씩 번갈아가면서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맡자는 제안도 결국 두 상임위를 모두 차지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가 조만간 또 한 번 결단의 순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이번 주말까지 원 구성 협상을 매듭지으라고 최종 통지했다. 국민의힘 내에선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수용할지를 두고 “굴욕적이다”라는 목소리 못지않게 “7개 상임위라도 챙겨서 실리를 챙겨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추 원내대표가 지난 18일부터 의원총회를 중단한 것도 어떤 결론이 되든 본인이 결단해야 할 몫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추 원내대표는 주변에 “소속 의원들에게 재신임을 받더라도 결국 내가 결단을 내려야 할 상황”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정선·김보름·김대영 기자
윤정선
김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