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투쟁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부터 5일째 이어진 서울대병원 전면 휴진은 종료된다.

서울의대학-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곳 병원 전체 교수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비대위에 따르면, 이번 투표에서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에 그쳤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에 관한 질문에서는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응답자 75.4%의 동의를 얻었다. ‘범의료계와의 연대’는 55.4%의 동의를 얻었다.

비대위는 지난 6일 정부에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고, 지난 17일부터 응급·중증·희귀질환 등을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및 시술을 중단했다.

이번 휴진에는 네 곳 병원 진료 교수 중 54.8%가 참여했다.

비대위는 전면 휴진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배경으로 환자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을 꼽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들이 환자 피해에 대한 우려를 전했고, 환우회와 소비자단체 등이 휴진 결정을 철회해달라고 호소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비대위는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다”며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이며, 무능한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고,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하겠다”고 밝혔다.

오남석 기자
오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