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 내수는 감소세, 수출은 소폭 증가할 것"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이 역대 최다 수출액을 기록하는 반면, 내수 판매는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3일 ‘2024년 자동차산업 상반기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하반기 자동차 내수 시장은 축소하겠지만, 수출 시장은 소폭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올 한 해 완성차 수출액은 작년보다 5.4% 증가한 747억 달러에 달하고, 여기에 자동차 부품 수출을 포함할 경우 그 규모는 98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자동차 수출은 북미 시장의 견조한 성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SUV, 하이브리드차 선호도 향상에 따라 4.2% 증가한 140만 대에 이르고, 하반기 완성차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375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올 한 해 자동차 내수 판매는 작년보다 5.9% 감소한 165만 대, 수출 판매는 3.4% 증가한 286만 대, 생산은 0.1% 감소한 424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자동차 내수 시장에서는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0.7% 감소한 약 80만 대가, 수출 시장에서는 2.7% 증가한 약 150만 대가 각각 판매됐다고 보고서는 추정했다.
상반기 완성차 수출액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하이브리드차 및 SUV 수출 확대로 4.4% 증가한 약 372억 달러를, 생산은 내수 부진, 업체별 생산라인 조정 등으로 1.6% 감소한 약 216만 대를 기록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하반기에도 금리 인하 시점이 불투명해지면서 소비심리 위축이 이어져 자동차 등 내구재의 소비축소가 계속될 것"이라며 "자동차산업 성장 동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노후자동차 교체지원과 개별소비세 인하, 전기·수소전기차·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친환경차 세액 감면 연장과 같은 내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또 "수출 성장세 유지를 위해 안정적 노사관계 확보, 유연한 근로제 도입, 급등한 해상운임 및 자동차 선복 부족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