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일본 도쿄의 유명 관광명소인 센소지 사원이 방문객과 외국인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다. 교도통신연합뉴스
지난해 7월 일본 도쿄의 유명 관광명소인 센소지 사원이 방문객과 외국인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다. 교도통신연합뉴스


일본에서 숙박세를 도입하려는 지방자치단체가 30여 곳에 달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이런 정책은 일본의 주요 관광명소 입장료를 외국인에게 더 많이 받는 이중가격제와 맞물리면서 여행비용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후지가와구치코마치 당국은 오는 2026년 숙박세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 지역에는 ‘후지산 인증사진 성지’로 이름난 혼슈 중부 야마나시현 편의점 등이 있다. 대만 TSMC 반도체 공장이 들어서 방문객이 늘어난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도 2026년 숙박세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한국인도 많이 찾는 삿포로나 오키나와현 주변 지자체도 같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도쿄도와 오사카부, 교토시, 가나자와시, 후쿠오카시, 나가사키시 등 12곳은 이미 숙박세를 도입했거나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1인당 숙박료의 1~3%를 숙박세로 물린다.

숙박세를 이미 도입하고 있는 지자체에서는 징수액을 올리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숙박세 도입 확산하는 것은 일본을 찾는 관광객이 늘어나며 오버 투어리즘(관광공해) 문제가 심각해진 탓이다. 관광안내소나 화장실 설치 등 수용 시설 정비를 비롯한 재원 수요가 늘었지만 중앙 정부 교부금으로는 역부족인데 따른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일본 기업경영자 단체인 경제동우회는 숙박요금의 3%를 부과하는 숙박세를 2026년까지 전국에 도입하는 법률을 마련, 관광 진흥을 위한 안정적인 재원으로 숙박세를 활용하자고 지난 3월 제안하기도 했다.

김유진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