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7일 강원 철원군 문혜리사격장에서 열린 수도군단 합동 포탄사격훈련에서 K9 자주포가 사격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지난 4월 17일 강원 철원군 문혜리사격장에서 열린 수도군단 합동 포탄사격훈련에서 K9 자주포가 사격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육군 “도발 대응 및 대비태세 강화…접적지역 훈련 정례적 실시”



군이 지난달 26일 서북도서 인근 해상에 이어 2일 경기도 강원도 등 육상 접경지대 부근에서도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약 6년 만에 포병 실사격 훈련을 재개했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군은 이날 오전 8시부터 경기도 연천 적거리사격장과 강원도 화천 칠성사격장 등 전방 사격장에서 K9 자주포 등을 동원해 포병 사격을 실시했다.

경기도에서 K9 자주포 90여 발, 강원도에서 K-105A1 차륜형 자주포 40여 발 등 총 140발 가량이 발사됐다.

해당 사격장들은 군사분계선(MDL) 이남 5㎞ 안에 위치하며, 2018년 9·19 군사합의 이후 포사격 훈련이 실시되지 않은 곳이다.

9·19 군사합의에서 남북은 MDL 5㎞ 이내에서 포병 사격훈련 및 연대급 이상 야외 기동훈련을 전면 중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5월 말부터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전파교란 공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복합적 도발을 벌이면서 상황이 변했다. 정부는 지난달 4일 9·19 합의 모든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군은 전방부대들이 9·19 군사합의가 유지되던 때처럼 후방으로 빠져서 훈련하는 것보다 실제 관할 작전 지역 환경에서 사격 훈련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육군은 “정부의 9·19 합의 전부 효력 정지로 훈련이 정상화됨에 따른 첫 지상 사격 훈련”이라며 “적 도발 시 대응 능력 및 화력 대비 태세 강화에 중점을 두고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접적 지역에서 포병 사격과 기동부대 훈련을 정례적으로 실시해 공세적 전투 수행이 가능한 통합 화력 운용 능력을 배양하는 등 군사 대비 태세의 완전성을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병대가 서북도서에서 해상 사격훈련을 하는 모습. 합참 제공
해병대가 서북도서에서 해상 사격훈련을 하는 모습. 합참 제공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례 K9 자주포 해상사격훈련은 지난달 26일 재개됐다. 이 역시 9·19 합의가 금지했던 형태의 훈련이다.

9·19 군사합의로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 완충구역 내 사격이 금지됐던 까닭에 서북도서 해병대 부대는 그동안 K9 등을 내륙으로 옮겨 가서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군은 9·19 합의로 시행하지 않았던 MDL 인근 대규모 합동 야외 기동훈련 등도 이어가며 복합 도발과 러시아 군사 협력 수위를 높여가는 북한에 계속 경고장을 날릴 전망이다.

정충신 선임기자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