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0개 대학 3015명 설문

정부, 국시 추가실시 방안 검토
의대생 ‘특혜 논란’ 심화 될 듯


2000년(의약분업), 2020년(의대 증원)에 이어 올해 의대생들의 의사 국가시험 거부 사태가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들은 그동안 의사 집단행동에 힘을 싣기 위해 국시를 거부했는데 정부는 매번 국시 구제를 해줘 다른 국시 응시자와의 형평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내년도 의사 국시를 치러야 하는 전국 40개 의대 본과 4학년 대다수가 응시를 거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국 40개 의대 본과 4학년 3015명에게 설문한 결과, 응답자(2903명)의 95.52%(2773명)가 국시를 위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제출을 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은 지난달 의사 국시 시행 계획을 공고했다. 의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선 9∼11월 진행되는 국시 실기시험과 이듬해 1월 필기시험에 모두 합격해야 한다. 응시 대상자 확인을 위해 각 의대는 졸업 예정자 명단을 지난달 20일까지 국시원에 제출해야 했는데, 응시 예정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가 필요하다. 의대협은 “개인정보 제공을 하지 않을 경우 의사 국시 접수가 불가능해진다”며 “정부에 반발하는 학생들의 강경한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대생 국시 거부는 의사들이 파업할 때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의대생들은 2020년 의대 증원 총파업 당시에도 동맹휴학과 국시 거부로 맞선 바 있다. 당시 주요 수련병원장들은 재응시 기회를 달라면서 대국민 사과를 하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국시 구제를 해줬다. 당시 교원 임용 등 다른 국시에 응시한 코로나19 확진자들은 시험 기회가 없어 공정성 논란이 거셌다. 2000년 의약분업 파업 당시에도 의대생들은 국시 구제를 받았다.

정부는 이번에도 의사 국시를 추가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잇단 의대생 특혜 조치를 두고 대학가에서는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언제까지 정부가 (의대생 집단행동을) 용인해줘야 하냐” “의대생이 동맹휴학으로 국민을 협박하고 있다” “학교에 의대 휴학생 제적을 요구한다” 등의 글이 게재됐다. 한 국립대 총장은 “의대생들만을 위해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자괴감이 든다”면서 “교육자로서 가야 할 바람직한 방법인지에 대해 생각이 많아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교육부는 의대생 특혜 논란에 대해 ‘공익을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권도경·인지현 기자
권도경
인지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