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명동 등 350곳에 설치
무단횡단 방지·사고감소 효과
시민 82%가 “만족한다” 답변

부산, 하반기 100곳 추가 계획
원주·구리 등도 확대방침 밝혀


무단횡단 사고 예방 등을 위해 ‘빨간불’의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신호등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그간 시범 운영을 해온 지방자치단체들이 속속 확대 설치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의 전국 확산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시는 안전한 교통 환경 조성과 보행 편의 증진을 위해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의 서울 전역 확대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서울시청 주변과 광화문 월대(月臺) 앞 등 8곳에서 시범 운영해 온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을 올 연말까지 시민 통행량이 많은 명동, 홍대입구, 강남역 등 총 350곳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은 기존 녹색 신호의 횡단 잔여 시간뿐만 아니라 적색 신호의 대기 잔여 시간까지도 알려주는 신호등이다. 다만 보행자가 미리 급하게 사전 출발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등 시민의 안전을 위해 빨간불 신호 종료 6초 이하가 되면 시간표기를 하지 않는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빨간불에 무단 횡단을 하는 사람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교통사고 발생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잔여 시간 표시장치를 도입했다.

서울시가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 확대에 나선 이유는 시민 호응이 높고, 확대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기 때문이다. 시범운영 기간 시민 141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대면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만족한다’는 의견이 82%에 달했다. 74%는 확대 설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보행자 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은 78%였다. 주요 기대 효과로는 △보행자 안전 향상(40%) △편리함 증대(39%) △무단횡단 감소(20%)가 꼽혔다. 서울시는 앞으로 연차별로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외에도 부산·강원 원주·경기 구리시 등도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 확대 설치에 나서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경찰청과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을 올해 하반기 100곳에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부산경찰청은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까지 부산 지역 73곳에 이 신호등을 설치했다. 부산경찰청은 어린이보호구역이나 보행자 통행량이 많고 사고가 잦은 곳을 중심으로 설치 대상지를 늘려나갈 방침이다. 원주시는 지난 5월 말 보행자가 많은 교차로 6곳에 총 48개의 적색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을 시범 설치했다.

원주시 관계자는 “올해 시범 설치한 신호등의 사업효과를 분석해 내년 추가 설치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jay@munhwa.com · 부산=이승륜·원주=이성현 기자
이정민
이승륜
이성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