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 노력도 안해” 비판 목소리
의대생, 수업거부 등 강경 태세


5개월째 의료 현장을 이탈 중인 전공의들의 복귀를 설득해야 할 의대 교수들이 ‘제자 보호’만 앞세우며 의정 갈등을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환자단체는 “의정 갈등 해소 역할을 자처한 교수들이 중재를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의대생들도 정부의 행정처분 철회와 특례 조치에도 복귀 움직임이 거의 없는 전공의들에게 동조해 수업 거부와 의사 국가고시 응시 거부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16일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회장은 문화일보에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사직을 선택한 전공의의 결정을 존중해 달라’고 밝힌 것은 교수로서 제자들에게 돌아오지 않아도 된다고 선언한 것과 같다”면서 “발표를 접하면서 환자들이 지켜왔던 일말의 신뢰와 희망은 산산조각이 났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지난 3월부터 의정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자처해 왔는데, 정작 환자들에게 기다려 달라고만 했지 구체적으로 전공의와 어떤 논의를 해 왔고 설득 과정을 거쳤는지는 말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는 전날 “사직을 선택한 전공의의 사직서 수리 일자는 전공의의 의사를 존중해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월째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 의대생들도 여전히 학교 현장에 돌아가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다. 수도권 의대에 재학 중인 2학년 김모 씨는 “개인으로서는 학교에 돌아가지 않을 생각이며, 의대생 협의체 결정만 기다리고 있다”며 “아무래도 선배인 전공의들과 함께 맞춰 움직일 것 같다”고 말했다. 의대생 대표 단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최근 본과 4학년들의 의사 국시 거부 입장을 밝히며 “의대생들이 원하는 바(증원 재검토)는 이미 전달한 바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해선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요지부동인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오는 2025학년도 대입 수시 접수 시점인 9월 이전에는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을 돌이킬 여지가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2025학년도 의대 입시 일정이 이미 지난 8일 재외국민전형 원서 접수를 기점으로 시작됐다며 ‘정책 재검토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인지현 기자 loveofall@munhwa.com

관련기사

인지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