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WSJ, 30일 FOMC 전망 보도
인플레·고용시장 둔화세 뚜렷
“7월 금리는 현 수준 유지할듯”

일각선 “9월 0.50%P 인하 예상”


오는 30∼31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년여 넘게 긴축을 지속한 미 통화정책의 변곡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서 이번 회의에서 9월 금리 인하 시그널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선 미 경제지표가 악화할 경우 Fed가 9월 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롬 파월 Fed 의장이 FOMC 이후 진행하는 기자회견에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보도했다. 7월 금리는 5.25∼5.50%의 현 수준을 8회 연속 유지하겠지만 “더 큰 확신이 필요하다”는 이전의 신중한 자세에서 벗어나 조만간 행동에 나설 것이란 의사를 분명히 할 것이란 설명이다. 블룸버그통신 역시 “Fed가 수개월 내 차입비용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며 “견고하지만 둔화하는 고용시장이 위태로워질 위험이 커지면서 이번 주 금리 인하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봤다.

Fed의 9월 금리 인하 신호에 대한 확신 전망이 나오는 배경은 그동안 Fed가 금리 인하 선제 조건으로 내건 인플레이션과 고용 시장 둔화세가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상승해 전월(2.6%) 대비 하락했고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도 2.6% 올라 Fed의 물가목표치(2%)에 근접했다. 또 과열 양상을 보였던 고용시장도 6월 실업률이 4.1%로 2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냉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Fed 내부에서 금리 인하 ‘실기’에 따른 경제 충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점도 9월 인하설에 무게를 싣고 있다. Fed는 앞서 2022년 물가 상승이 “일시적일 수 있다”며 방관하다가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일각에서는 Fed가 7월 금리를 동결한 후 9월 금리를 0.25%포인트가 아닌 0.50%포인트 인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9월 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87.7%, 0.50%포인트를 인하할 가능성을 11.9%로 반영하고 있다. 브랜디와인투자운용의 잭 맥킨타이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노동 약화 징후가 (7∼9월 사이에) 늘어나면 경제가 더 악화했다는 뜻이고 Fed는 금리를 더 많이 인하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황혜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