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와 관련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1일 오전 서울 강남구 티몬(위 사진)·위메프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다.   백동현 기자·연합뉴스
티몬·위메프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와 관련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1일 오전 서울 강남구 티몬(위 사진)·위메프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다. 백동현 기자·연합뉴스


■ 수사팀 85명 투입 강제수사

경영진 주거지 3곳·본사 등 7곳
회계자료·휴대전화 등 확보 나서
사기·횡령·배임 혐의 등 정조준


검찰이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와 관련, 1일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이사 자택과 티몬 본사 등 10여 곳에 대한 동시다발적 대규모 압수수색에 나섰다. 전담수사팀 구성 사흘 만에 강제수사에 나선 것으로 티메프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서울중앙지검 티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반부패1부장)은 이날 오전 8시 50분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구 대표의 자택 등 경영진 주거지 3곳과 강남구 티메프 본사와 관련 법인 사무실 등 7곳에 수사팀 85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구 대표에 대해 사기와 횡령·배임 등의 혐의를 적용했다.

수사팀은 이들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내부 문건(회계자료·결재문서·보고서 등), 휴대전화 확보에 나서고 있다. 검찰은 이날 확보한 압수물과 구 대표 등을 수사 의뢰한 금융감독원이 넘긴 자료를 토대로 티메프 관련 자금 흐름 등을 확인한 뒤 구 대표와 경영진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티메프는 자금 경색으로 판매 대금을 제때 지급하기 어려운 사정을 알고도 입점 업체들과 계약을 유지하고 물품을 판매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소비자들의 결제 대금이나 판매자들에게 돌려줘야 할 대금을 다른 용도에 사용했다는 의혹도 수사 대상이다.

구 대표는 이런 의혹을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서 일부 시인했다. 그는 큐텐이 지난 2월 1억7300만 달러(약 2300억 원)에 북미·유럽 기반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시’를 인수하는 과정에 티메프 자금을 끌어 썼다고 밝혔다. 다만 “정산 지연 사태와는 관련이 없다”며 “한 달 내 바로 상환했다”고 해명했다. 정부가 추산한 티메프의 판매자 미정산 대금은 약 2100억 원 규모다. 하지만 앞으로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거래분까지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1조 원에 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큐텐이 티몬과 위메프의 자금을 빼 쓴 과정에서 내부 절차나 규정을 무시했다는 의혹도 제기돼 검찰은 경영진의 사기 혐의뿐만 아니라 횡령·배임 혐의를 규명하는 데 수사의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달 26일 금감원으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았지만 티메프 측의 자구책 마련을 지켜보며 즉각 수사에 돌입하진 않았다. 하지만 지난달 29일 티메프가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하자 자구책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정식 수사로 전환한 뒤 주요 피의자들을 출국 금지 조치했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전담수사팀 구성을 지시하며 반부패수사1부 소속 검사 7명을 투입했다.

티메프가 법원에 신청한 기업회생 심문은 2일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다. 법원은 류광진 티몬 대표와 류화현 위메프 대표를 불러 회생을 신청한 경위와 자산 및 부채 현황 등을 물을 것으로 보인다.

정선형·강한 기자
정선형
강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